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상장시장에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적자회피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

영문명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in the Non-listed Market on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박종일(Jong Il Park) 최성호(Sung Ho Choi)
간행물 정보
『세무와회계저널』제15권 제5호, 57~9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을 선임한경우보다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보고 회피와 이익감소보고 회피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Burgstahler and Dichev(1997, 이하 B&D)의 연구에서 제시된 이익수준과 이익변동에 따른 횡단면적 불연속성 분포 특성으로 파악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는 비상장기업에서 대표적인 목표이익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임을 선행연구에서는 보여주었다(최종서와곽영민, 2010). 기존 연구인 최종서와 곽영민(2010)은 비상장기업에서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구간의 기업들이 재량적 발생액뿐만 아니라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속한 비상장기업들이 Big 4 감사인을 선임하면 non-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경우보다 감사인이 기업의 적자보고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행위를 더 억제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설정은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B&D의 이익분포(이익수준 및 이익변동)의 횡단면적 불연속성 특성을 이용하였다(박종일과 김명인, 2013;최종서와 곽영민, 2010). 분석기간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최종표본은 40,362개 기업/연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은 non-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보다 적자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g 4 감사인은 non-Big 4 감사인에 비해 비상장기업의 경영성과를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하여 보고하려는 경영자의 유인을 억제한다는 결과이다. 둘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감소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g 4 감사인은 non-Big4 감사인에 비해 비상장기업의 보고이익 감소를 소폭 이익증가로 전환하여 보고하려는 경향을 억제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두 연구결과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구간을좁게 혹은 넓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대체로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B&D(1997)의 분류상 문제를 조정한 후인 재량적 발생액을 증가시킨 경우나, 또는 이익조정 전 이익이 목표이익에 미달된 기업이 재량적 발생액을 상향조정하여 소폭 흑자나 소폭 이익증가로 전환하여 적자보고 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 구간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비상장기업의 Big 4 감사인 선임은 non-Big 4감사인을 선임한 경우보다 적자보고 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Big 4 감사인은 non-Big 4 감사인보다 비상장기업에서의 적자보고나 이익감소보고 회피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는 것은 상장기업과 비교할 때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더 낮은 비상장기업에서의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감사품질 측면에서 더 효과성이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발견은 감사품질을 다룬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계뿐 아니라 비상장기업에서의 재무보고의 신뢰성에 관심 있는 규제기관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rior study report that suspected non-listed firms that slightly achieve earnings benchmarks (toavoid losses or to avoid earnings decreases) tend to manag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as well as real earnings management (Choi and Kwak 2010). Also, Burgstahler and Dichev (B&D,1997) argue that managers overstate earnings in order to avoid reporting losses and earningsdecreases, and they find a significant discontinuity around zero in the earnings distribution.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suppress the avoidance of reporting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than non-listed firms auditedfrom the non-Big 4 auditors. For the analysis, we employ the cross-sectional discontinuitycharacteristic of earnings distribution (earnings levels and earnings changes) around zero, itfollows from B&D (1997)’s methodology (Park and Kim 2013;Choi and Kwak 2010 etc). Thispaper uses the total 40,362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7.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we find that the non-listed firms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 were shown to lower probability of avoiding losses than the nonlistedfirms audited from the non-Big 4 auditors. Second, we find that the non-listed firms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 were shown to lower probability of avoiding earnings decreasesthan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the non-Big 4 auditors.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Big 4auditors are more effective than non-Big 4 auditors in suppressing the tendency of switching non-listed firms’ earnings decreases into increases for reporting. Thus, we interpret our results as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Big 4 auditors are of higher quality than non-Big 4 auditors. In summary, the result of this paper confirming that hiring Big 4 auditors with respect to nonlistedfirms suppress avoidance of reporting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more effectively than non-Big 4 auditors is significant. That is,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audit quality of the Big 4auditors even for non-listed firms with relatively low accounting environment is also quitedifferent from that of listed firms. Therefore, this paper’s findings are expected to make additional contributions to relevant research on audit quality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regulatory institution interested in the reliability of non-listed firms’ financial reports. Also,academics can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related research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연구가설
Ⅲ. 연구설계 및 표본 선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일(Jong Il Park),최성호(Sung Ho Choi). (2014).비상장시장에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적자회피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5 (5), 57-95

MLA

박종일(Jong Il Park),최성호(Sung Ho Choi). "비상장시장에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적자회피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5.5(2014): 5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