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실태와 통상 문화 환경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arket Performances and Business Cultural Environment of Korean Enterprises at Central and South Americ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장치순(ChangChiSoon) 고혁진(Hyukjin K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3권 제1호, 341~3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FTA를 체결한 칠레를 비롯하여 신흥 시장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중남미 시장에 있어서의 한국 상품의 진출 실태를 분석하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민간부문, 정부부문의 중남미 무역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특히 중남미 시장에서의 가장 큰 경쟁국가인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상품이 중남미 시장에서 우위를 지켜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남미에서 문화적으로 선도 그룹인 '엘리트 집단'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적 친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단순히 '거대 시장'으로만 인식 되던 중남미 시장을 한국의 '전략적 시장'으로 접근하여 앞으로 한국 무역의 숙제인 수출 다변화와 점점 중요시 되는 원자재 등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수입원으로서의 중남미 시장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의 정부의 대 중남미 진출 확대를 위한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기술 협력, 무상 원조 지원 형태에서 벗어나 중남미 복합문화를 접목시킬 수 있는 한류문화의 특성화 작업을 서둘러 장기적인 시장 접근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합적 통상문화 환경의 수립과 창조적 문화 관계 수립에 의한 통상확대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performances and market positions of Korean products at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where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for the emerging markets with FTA. The main problems were not the communication or geographical distance but the faint Central and South American specific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indifferent market approaching concepts. New cultural merchandising approach, Korean enterprise can maintain the competitive advantage against with chinese low products which is main opponent in this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close cultural approach, Korean enterprise should use the 'elite groups' in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whom are multi cultural leaders in there and also needs to use the Korean CQO merchandisers in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the new FTA with rest of countries in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more aggressively will be the inmost objet of main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we could change the concept of the this market from 'big indifferent market' to 'strategic market' as a hopeful market for achieve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실태와 통상 문화 환경에 관한 연구
- 한ㆍ중 FTA 원산지기준의 「최적 합의안」도출을 위한 양국 기존 FTA협정의 원산지부문 비교연구
- 중국의 국제무역과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및 파급효과
- The Korean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on HIV/AIDS: Comparing with Migrant-Receiving and Migrant-Sending Countries in East Asia
- Rising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A Precursor of Economic Crisis
- 한국기업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도시화경제와 도시규모에 관한 연구
- 통신서비스의 국경간 공급 규제정책 연구
- 인도 진출 한국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Uncovered Interest Rate Parity : Revisited
-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외환시장 효율성 검정
- 유엔 새천년개발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체첸-러시아 갈등의 역사에 관한 연구
- 시계열 자료의 관찰빈도 및 기간이 VAR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 차이 검증
- 우리나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에 관한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스포츠이벤트의 지역경제효과 분석
- 러시아와의 통상분쟁 해결의 협상론적 분석
- 다국적기업의 R&D 이전에 관한 한ㆍ중 비교연구
- 한국 물류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
- 일본의 대학 발 벤처와 산학제휴 촉진시책
- 중국의 상장기업에서 소유구조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럽지역의 사회적기업 조직체계 및 재원확보 방안의 비교와 한국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