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ising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A Precursor of Economic Crisis
이용수 0
- 영문명
- 미국 개방 미저리 지수의 증가추세: 경제위기의 전조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정기웅(Ki-Woong Cheong) 김정숙(Jeongsook Kim) 이상학(LEE, SANGHAC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3권 제1호, 39~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를 미저리 지수(misery index)라고 칭한다. 미저리 지수가 높을수록 국민경제의 성과는 저조한 것을 나타낸다. Lee and Cheong (2007)은 미저리 지수에 경상수지의 GDP대비 비율(%)을 합한 수치를 개방 미저리 지수로 정의하였으며, 동 지수가 개방도가 높은 경제의 성과를 잘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미국에서 개방 미저리 지수가 증가하는 시기는 미국경제의 성과가 저조한 때와 일치한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 2008년에 시작된 현재의 경제위기 이전에 약 10년간 지속적으로 개방 미저리 지수가 상승하는 추세임을 보여준다. 이는, 미국의 현 경제위기에 앞서 지난 10여년간 미국경제의 내부 및 외부불균형이 누적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최근의 증가하는 추세의 개방 미저리 지수를 현재의 경제위기의 전조로 해석한다.
영문 초록
The misery index is the sum of the inflation rate and the unemployment rate. The higher the index, the lower 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economy. Lee and Cheong (2007) propose that the open misery index, defined to be the sum of the misery index and the ratio of current account to GDP, properly measur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a national economy when its degree of openness is large.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iods of rising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coincide with those of economic hardship in the USA. Most recently, the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has shown a rising trend for a decade prior to the current economic crisis. That is, external and internal imbalances of the USA have accumulated for a decade prior to the current economic crisis. We interpret the recent rising trend of the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as a precursor of the current economic crisi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asuring Methods for Economic Performance
Ⅲ.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Ⅳ.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실태와 통상 문화 환경에 관한 연구
- 한ㆍ중 FTA 원산지기준의 「최적 합의안」도출을 위한 양국 기존 FTA협정의 원산지부문 비교연구
- 중국의 국제무역과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및 파급효과
- The Korean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on HIV/AIDS: Comparing with Migrant-Receiving and Migrant-Sending Countries in East Asia
- Rising Open Misery Index of the USA: A Precursor of Economic Crisis
- 한국기업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도시화경제와 도시규모에 관한 연구
- 통신서비스의 국경간 공급 규제정책 연구
- 인도 진출 한국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Uncovered Interest Rate Parity : Revisited
-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외환시장 효율성 검정
- 유엔 새천년개발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체첸-러시아 갈등의 역사에 관한 연구
- 시계열 자료의 관찰빈도 및 기간이 VAR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 차이 검증
- 우리나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에 관한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스포츠이벤트의 지역경제효과 분석
- 러시아와의 통상분쟁 해결의 협상론적 분석
- 다국적기업의 R&D 이전에 관한 한ㆍ중 비교연구
- 한국 물류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
- 일본의 대학 발 벤처와 산학제휴 촉진시책
- 중국의 상장기업에서 소유구조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럽지역의 사회적기업 조직체계 및 재원확보 방안의 비교와 한국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