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Theoretical Analysis on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Residential Locatio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병현(Kim, Byung Hyu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1호, 571~58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경쟁입지 균형이론을 이용하여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모의 취업과 자녀의 교육은 입지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교육에 대한 선호체계에 따라 그들의 입지가 결정되는 다양한 균형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육에 대한 취향(선호체계)이 강할수록 교육지에 거주지를 입지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교육에 대한 취향이 약할수록 직장지에 거주지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거주지입지와 교육수요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즉 교육지 거주자는 일반적으로 직장지 거주자보다 교육시간을 더 많이 소비하게 된다. 이는 교육지 거주자의 보다 높은 교육열과 그들이 부담하는 낮은 교육가격에 기인한다. 소비자들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모형패러미터들의 효과를 보면, 통학 및 통근빈도효과의 경우, 교육지로의 통학빈도가 증가할수록 직장지와 교육지간의 거리는 점점 짧아지고, 금전적 교육비용이 클수록 교육지에 거주하면서 직장지로 통근하기를 선호하는 소비자타입의 범위는 넓어진다. 거리효과는 직장지와 교육지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직장지 거주자의 총 통학시간과 교육지 거주자의 총 통근시간은 증가한다. 임금효과를 보면, 임금이 증가할수록 교육지에 거주지를 선택하는 소비자의 범위가 좁아진다.

영문 초록

We use the properties of competitive location equilibrium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he choice of primary residential location. Consumers can work and live in a comparatively high wage place where there are few education opportunities, or live in a place where education is available and commute to work. If education and employment are each location-specific, there are pooling equilibria in which consumers locat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for education. In general, the stronger the taste for education, the greater the attraction of living close to the education site and the lower the demand for other goods, including housing.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model parameter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umers, we find that a higher frequency of trips taken to the education site, a shorter distance between the work place and the education site, or a greater out-of-pocket education cost each leads to a wider range of consumer types selecting to reside at the education location. We also find that a higher wage lowers the range of consumers who select to live near the education site.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Ⅲ. 입지-교육수요 모델
Ⅳ. 교육-거주지입지 균형
Ⅴ. 비교정태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현(Kim, Byung Hyun) . (2011).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국제지역연구, 15 (1), 571-583

MLA

김병현(Kim, Byung Hyun) .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국제지역연구, 15.1(2011): 571-5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