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지역협력강화와 경제공동체 추진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Discussion on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민경식(Kyoungsik MI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1호, 195~2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동아시아에서는 경제통합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97년 발생한 동아시아 통화위기는 역내에서 제도적인 협력체 형성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 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ASEAN+3 정상회의가 정례화 됨으로써 지역경제협력 및 경제통합 논의가 시작되었다. 또한, 동아시아에서는 역내외 다국적기업이 직접투자를 통해 생산공정을 역내 산업집적지에 분산(fragmentation)시키는 공정간 분업체제가 국제적 생산·유통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서 경제통합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역내 네트워크는 각국·지역간 FTA체결을 통해 강화되었고 경제관계의 심화로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는 지역 내 경제격차, 문화의 다양성과 사회·정치제도의 차이, 역사적 화해 등 산적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경제공동체 구성의 앞날이 순탄하지 못할 것이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협력강화 현황을 살펴보고 EU의 경제통합 성공사례의 시사점을 통해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구성의 논점을 고찰한다.
영문 초록
Discussion of Economic Community in East Asia are active. This trend began in the late 20th from the EU and North America's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East Asia in the late 1990s to the actual for the FTA, it was not very active. As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became one of agendas for ASEAN+3 Leaders' meeting since 2004. Japan has been positioned itself as a leading country in East Asia. However, the emergence of China in the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have been changes. Moreover, East Asian countries began concerns over regional economic community with frequent conclusions of FTAs and China is leading the discussion on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region. Some of it in terms of economic community in East Asia will not be smooth. First, East Asian countries do not have a common goal. Second, East Asian countries have a lot of diversity. Third, China and Japan are expected to compete in the championship. Therefore,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should be approached in the long-term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추진
Ⅲ. 동아시아 경제협력관계의 진화
Ⅳ.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성의 논점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nvertible Bond Issue Announcements and Stock Price Changes: Focusing on Domestic and Offshore CB Issues
- 다국적기업 국내 자회사의 자율성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정체성 형성요인과 효과 분석
- 한국과 중국 은행의 효율성 비교에 관한 연구
- 주가 및 부동산가격이 화폐수요에 미치는 부의 효과
- 공급체인 통합과 친환경 활동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Analysis of Export-led Growth in the U.S. Economy: An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Exports by 50 States
- 외국인투자자의 중국상업은행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변천과 인구고령화
- The Management Performances originated from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Korean Tourism Firms
- 외국인의 만기별 국내 채권투자 결정요인과 채권시장 영향
- 한국의 도시별 집세의 수렴화 현상에 대한 연구
- 동아시아 지역협력강화와 경제공동체 추진에 관한 고찰
-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 한·중 기술무역장벽의 경제적 효과 추정
- OECD 회원국 자료를 활용한 한국의 자영업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 Strategic Tariff Policy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 탄소세 도입이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사용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주의 세계화요인이 국가브랜드이미지 및 전통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al and Monetary Disturbances and Economic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Large Countries
-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일본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위험, 그리고 정보비용절약에 미치는 영향
- The EU-Korea FTA in the Viewpoints of the New Member States
- 고급과학기술인력의 국가간 유출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책융자의 경제적 성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