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팜 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Economic Analysis of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s
발행기관
한국지역경제학회
저자명
이경재(Kyungjae Lee) 최도형(Dohyeong Choi) 이성우(Seongwoo Lee)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경제연구』제23권 제2호, 23~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부는 지난 10년 간 스마트팜 투자사업을 지원해왔으며 2024년 ‘스마트농업법‘을 시행함에 따라 향후 스마트팜 농가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팜 투자사업에 대한 정량적인 사후평가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팜 도입이 농가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하였다. 분석에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농림어업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미래 소득 효과를 예측하고 정부의 스마트팜 관련 예산을 반영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팜 도입이 시설원예 및 축산 농가의 소득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드러났으며, 비용편익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업 시행에 따른 향후 누적 편익이 증가되어 스마트팜의 경제적 타당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팜 투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사후적,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스마트농업 관련 정책 수립 및 투자 확대에 주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ver the past decade, the government has actively supported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s, an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rt Agriculture Act” in 2024, further expansion of support for smart farms is anticipated. Despite the recognized need, there has been limited quantitative post-evaluation of these existing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s. This study employs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impact of smart farm adoption on farm income. The analysis utilizes data from the Agricultural and Fisheries Census, spanning from 2011 to 2022, comparing the income differences between farms that have adopted smart farming technologies and those that have not. Following the estimation of the impact of smart farm adoption on farm income, the study projects future income effects and conducts a benefit-cost analysis, incorporating the government’s budget for smart farm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doption of smart farming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ome of farms engaged in horticulture and livestock production. Moreover, the benefit-cost analysis reveals that the accumulated benefits are projected to grow in the future, enhancing the economic viability of smart farm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viability of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formulation of future smart farm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스마트팜 정책효과 평가의 필요
Ⅲ.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재(Kyungjae Lee),최도형(Dohyeong Choi),이성우(Seongwoo Lee). (2025).스마트팜 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23 (2), 23-51

MLA

이경재(Kyungjae Lee),최도형(Dohyeong Choi),이성우(Seongwoo Lee). "스마트팜 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23.2(2025): 2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