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Analysis of Export-led Growth in the U.S. Economy: An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Exports by 50 States
이용수 0
- 영문명
- 미국 경제의 수출견인성장에 대한 분석: 50개 州의 농산물 수출을 중심으로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강현수(Kang, Hyunso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1호, 107~1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WTO 체제하의 국제무역에서,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미국의 50개 州를 대상으로 농산물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973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수출견인성장 가설에 근거한 선형모형의 추정, 충격반응함수, 분산분해분석, 그랜저 인과성 검증을 각각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미국의 경제에서 농산물 수출은 자국의 경제성장의 원인이 되었고, 특히 16개 州(하와이, 아이다호, 캔자스, 메릴랜드, 미시건, 미네소타, 뉴져지, 노스 캐롤라이나, 노스 다코다, 오클라호마, 오레곤, 로드 아일랜드, 사우스 다코다, 텍사스, 워싱턴, 위스콘신)에서는 강한 인과성이 또한 31개 주에서는 약한 인과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미국의 경제성장에서 농산물 수출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일부 해안가나 곡창지대에 위치한 일부 州에서는 농산물 수출이 경제성장에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었다. 이를 통해서 한국은 미국과의 농산물 교역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미국의 농산물 수출을 통한 자국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 교역국의 입장에서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gricultural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the U.S. economy by 50 states. Using the annual data from 1973 to 2007, the theoretical methodologies based on the export-led growth (ELG) model under the static model,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RF) and forecast error variation decomposition (FEVD) under the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results show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exports and economic growth at the states’ level. Especially, the ELG hypothesis is strongly supported in the case of 16 states (HI, ID, KS, MD, MI, MN, NJ, NC, ND, OK, OR, RI, SD, TX, WA, and WI) and is also weakly supported in the case of 31 states. Therefore, the agricultural exports are important factor of developing in the U.S. economy, and furthermore some states (located in coastal area and breadbasket) indicate the strong evidence for agricultural exports-led growt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Model
Ⅲ. Estimation Results
Ⅳ.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nvertible Bond Issue Announcements and Stock Price Changes: Focusing on Domestic and Offshore CB Issues
- 다국적기업 국내 자회사의 자율성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정체성 형성요인과 효과 분석
- 한국과 중국 은행의 효율성 비교에 관한 연구
- 주가 및 부동산가격이 화폐수요에 미치는 부의 효과
- 공급체인 통합과 친환경 활동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Analysis of Export-led Growth in the U.S. Economy: An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Exports by 50 States
- 외국인투자자의 중국상업은행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변천과 인구고령화
- The Management Performances originated from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Korean Tourism Firms
- 외국인의 만기별 국내 채권투자 결정요인과 채권시장 영향
- 한국의 도시별 집세의 수렴화 현상에 대한 연구
- 동아시아 지역협력강화와 경제공동체 추진에 관한 고찰
- 교육수요와 거주지선택에 대한 이론적 분석
- 한·중 기술무역장벽의 경제적 효과 추정
- OECD 회원국 자료를 활용한 한국의 자영업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 Strategic Tariff Policy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 탄소세 도입이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사용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주의 세계화요인이 국가브랜드이미지 및 전통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al and Monetary Disturbances and Economic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Large Countries
-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일본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위험, 그리고 정보비용절약에 미치는 영향
- The EU-Korea FTA in the Viewpoints of the New Member States
- 고급과학기술인력의 국가간 유출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책융자의 경제적 성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