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질환율이 대미국, 대일본, 대중국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 of Real Exchange Rate on Bilateral Trade Balance with US, Japan and China: the J-curve Effect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미정(Mijeong Kim) 심성훈(Sung-Hoon S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7권 제3호, 285~30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대 무역국인 미국, 중국, 일본과의 무역에 있어서 원화 환율이 국내 무역수지에 주는 영향을 장기와 단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ARDL(자기회귀시차) 모형에 기초한 한계검정법(bounds test)의 공적분 검정을 통하여 각 모형에서 변수들 간의 장기 균형을 살펴보았다. 대미국 및 대일본의 경우 환율, 국내소득 및 외국소득 간에는 장기적으로 균형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국의 경우 한계검정법에 의해 결정되지는 않지만, 단기 ECM 모형의 결과에 의해 변수들 간에는 장기 균형관계에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한편, 단기 ECM 모형에 기초할 때, 우리나라와 세 국가 간의 무역에서 환율 변동에 따른 J-curve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세 국가에 대한 우리나라 무역수지의 개선 효과는 원화가치의 하락 초기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VAR과 VECM에 기초한 충격반응함수의 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 되고 있다. 특히 대미국 및 대일본 무역에서 환율의 변동이 국내 무역수지 변동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반면, 대중국의 경우 환율의 영향이 대미국과 대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hort-run and long-run relationships between trade balance and real exchange rate using bilateral data for Korea vis--vis three of her major trading partners (US, Japan and China). Based on the ARDL bounds test, we find evidence of cointegration for US and Japan. For China, the bounds test gives an inconclusive results for the cointeg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hort-run ECM, the evidence of a J-curve phenomenon is not found in the Korea’s bilateral trades with all three countries. Although we can find little evidence of a J-curve, a real depreciation of the won leads to an immediate improvement in the Korea’s trade balance. This finding is also supported by the results of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Specially, the real exchange rate has a most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in Korea’s trade balance with US and Japan. In contrast, the effect of real exchange rate on the Korea’s trade balance with China is much smaller compared with the other two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3개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무역현황
Ⅳ. 이론적 배경 및 모델
Ⅴ. 실증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Mijeong Kim),심성훈(Sung-Hoon Sim) . (2013).실질환율이 대미국, 대일본, 대중국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17 (3), 285-308

MLA

김미정(Mijeong Kim),심성훈(Sung-Hoon Sim) . "실질환율이 대미국, 대일본, 대중국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17.3(2013): 285-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