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관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Armed Conflict in Post-Cold War Era: on the basis of UCDP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철기(Lee, Chul-ki)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3호, 269~29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 목적은 객관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가장 신뢰성과 객관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웁살라대학의 웁살라갈등자료 프로그램(UCDP)의 자료들을 근거로 진행했다. UCDP의 ‘무력갈등’개념은 적어도 한 당사자가 국가의 정부인 양 당사자 간에 정부나 영토를 둘러싸고 경쟁하는비양립성을 지니며, 당사자들의 무력사용에 의한 전투관련 사망자수가 단일 년도 안에 최소25명 이상인 갈등을 의미한다. 양극체제의 붕괴와 냉전체제의 해체는 국제사회의 무력갈등에도 구조적‧개념적으로 큰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무력갈등의 추세 분석은 무력갈등의 강도,형태 그리고 대륙별로 지역 차원에서 분류했다. 탈냉전 시기 무력갈등은 냉전 시기와는 다른특징들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무력갈등의 형태면에서, 국가 간 갈등이 줄어든 반면 국내갈등이 증가했다. 둘째, 강대국들 간에 상호 무력갈등을 자제하면서 이해관계가 걸린 특정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강대국의 기득권을 서로 용인하고 있다. 셋째, 무력갈등의 종결 방식이 무력을 통한 승리 보다는 평화적 해결이 강조되고 있다. 넷째, 국경을 경계로 한 갈등을 넘어서여러 국가에 걸쳐 일어나거나 인접국가로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섯째, 갈등 해결과정에서 UN의 역할이 켜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armed conflict in post-Cold War era on the basis of Uppsala conflict data program(UCDP) datasets. The collapse of bipolarity and the end of cold War proved a watershed in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conflict. The major shift in the nature of conflict has been away from interstate conflict, leaving intrastate conflict. Major powers have acted carefully against each other and been willing to understand the interests of other to avoid military confrontation and crash. As the means of termination for armed conflict, there is a stronger emphasis on the peace settlement like peace agreement and ceasefire agreement than military victory. Many intrastate conflicts become internationalized, through the involvement of diaspora communities, or regionalized through a spillover effect into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UN has taken a much more active role in conflict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무력갈등의 개념과 유형
Ⅲ.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 분석
Ⅳ.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특징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기(Lee, Chul-ki) . (2014).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관한 분석. 국제지역연구, 18 (3), 269-291

MLA

이철기(Lee, Chul-ki) .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관한 분석." 국제지역연구, 18.3(2014): 269-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