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지식재산권' 분쟁의 해결 방안 연구
이용수 3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oulu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in Metaverse Platform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용호(Kim, Yong-Ho)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21券 第2號,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메타버스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게 된 분야이다.
메타버스는 미래 새로운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는 확신에 따라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기업의 과감한 투자로 인해 더 빨리 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급성장으로 인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새로운 범죄가 발생하고 기존 범죄의 변종이 생성되는 등 악의적인 측면까지 함께 발전하게 되었다.
과거 우리는 ‘사이버 공간’의 발전 속도를 경험한 바 있다. 미리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범죄에 대처하지 못하는 법의 공백화 현상을 겪었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범죄 가운데 ‘지식재산권’에 해당하는 창작물의 소유, 생성, 사용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올바른 치안이 확립된 가상의 공간을 준비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global COVID 19 pandemic had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technologies. Moreover, Investment and support from governments and companies have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the rapid growth of metaverse technologies. However, the rapid growth has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occurrence of new and emerging crimes in the metaverse space. Since crimes in the metaverse space can cause great damage to users, research on this area is need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ownership, creation, and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mong the various crimes that can occur in the metaverse space. Our research is meaningful in preparing a safe virtual space for the post-COVID 19.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메타버스의 지식재산권 관련 주요 쟁점
Ⅳ. 지식재산권 분쟁의 해결 방안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tegrating the Network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he Balanced Scorecard Approaches for Enhanced Performance Assessment: A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SMP)
- 경찰공무원 직장협의회의 활성화 방안
-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지식재산권' 분쟁의 해결 방안 연구
- 코로나 19 이후 부산항만경찰의 대테러리즘 역할에 관한 연구
- 사이버 성폭력 범죄에 관한 연구
- 검찰의 합리적 역할방안에 관한 논의
-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범죄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조선시대의 범죄양상에 관한 연구
- 노태우 정부의 ‘3당 합당’에 관한 헌정사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