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기증>의 유비로서의 <버닝>

이용수  20

영문명
Burning as Analogy of Vertigo
발행기관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디스포지티프』제8권, 155~1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paring a film to a recognized masterpiece can be a way of film criticism. By closel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analogy can serve as a multi-channel path that allows us to see the film in a new perspective. This essay attempts to read and understand the modern Korean film Burning (Lee Chang-dong, 2018) by comparing it with the 1950s Hollywood film Vertigo (Alfred Hitchcock, 1958). By setting up an analogy between the two films in various aspects such as character structure, narrative flow, themes, protagonist's desire, and the act of looking, it tries to show that Burning is a profound and complex text comparable to Vertigo.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1).<현기증>의 유비로서의 <버닝>. 디스포지티프, 8 (1), 155-172

MLA

. "<현기증>의 유비로서의 <버닝>." 디스포지티프, 8.1(2021): 15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