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폐허의 오드라덱
이용수 39
- 영문명
- Odradek of Ruins
- 발행기관
-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디스포지티프』제8권, 121~1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dradek, described by Kafka in his short story 『The Cares of a Family Man』, is a being with a form close to humans, but is a mysterious existence whose origin and purpose are unknown. Jane Bennett calls Odradek's impersonal and inorganic human life was also seen as an example of 'thingpower'. Just as Deleuze and Guattari defined 'material vitalism' as the vitality of things inherent in matter-energy, ecological thinking requires recognition of the strength of impersonal affects. Just as Odradek is a multilateral being, human beings are also participants in the non-human world. If, as Guattari puts it, "the 'vitalist' ideas [of the machine] assimilate the machine to the living beings insofar as they are not assimilated into the machine“, then the operation of a machine resembling a living being could be uncharted territory. The 'abstract machine' that Guattari refers to is like an intangible planet that encompasses the social collective connected to the machine, the body, and the huge and complex unconscious world. Humans on this planet are bound to feel the confusion of identity, the vagu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s in many Sci-Fi novels and movies. Also, the inner movements in which all the world of unprovable subjectivity resonates with the outer world can very rarely resonate with sublime or embarrassingly heterogeneous affects.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 artistic subjectivity of films that we have not yet seen or arrived, this article is about how we can be freed from the habituated subjectivity transplanted from the outside to objectify subjectivity, and to be compatible with the mutant world of values. It contains concerns ab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reinvent subjectiv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