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R ‘완전영화’의 불가능성
이용수 73
- 영문명
- Impossibility of VR ‘total cinema' : Focusing on Embedded Cognition
- 발행기관
-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디스포지티프』제8권, 59~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concept of ‘The Myth of Total Cinema’ by André Bazin's has been a reference point for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idea in the history of cinema. Even in the discussion of Virtual Reality Film, there is an attempt to apply the concept of total cinema. Some scholars believe that VR film reach to the myth of full mov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cognition, VR film have limitations. Since the 1950s, cognitivism has been applied to various human activit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nvergence attitude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alize the human mind. Among these, embodied cognition includes various aspects of Embodied Cognition, Embedded Cognition, Enactive Cognition, and Extended Cognition. VR film could not act as active cognition system between the body and the brain. And VR film try to replace reality with a virtual world but this is impossible. On other hand, the legacy film system try to represented reality not replace. Also, in a normal VR film, humans cannot be active and cannot actively utilize space. In this reason, VR film cannot be effective cognition system and eventually cannot be ‘a total cinema’. Furthermore, the concept of a total cinema remains in a linear way of thinking, and there is a limit in explaining all the possibilities of the modern Virtual reality media. Accordingly, the concept of a total cinema must be discarded or reestablished. The myth of VR film must also be re-evaluated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abandoning technology-oriented thinking.
목차
1. 서론
2. ‘완전영화’의 개념과 VR 영화/영상
3. 인지적 패러다임 변화와 체화된 인지
4. 체화된 인지 관점으로 본 VR 영화의 한계와 ‘완전영화’ 불가능성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