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fter Cinema’
이용수 41
- 영문명
- ‘After Cinema’: regress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body in cinema
- 발행기관
-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디스포지티프』제8권, 87~11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ow will the cinema exist? This is not a new question. At the same time, it is a question that cannot be easily answered. Cinema as a medium and a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20th century. Today there are those who maintain that the upheavals tied to digital technology are changing the state of things more radically than ever before. As the topic of ‘After Cinema’ suggests, Whether voluntarily or intentionally, we are being asked to rethink the changes of cinema. The main conten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atics of the spectator’s body and experience surrounding the white screen. In any case, whether it is a small screen in the hand, a desktop screen, a white screen in a theater, or a wall in an exhibition hall or a museum, there is a human interest in the moving image surrounding the screen under the concept ‘family resemblance’. The dispositif called cinema exists in various ways under the form of various screens. There is a complex history of transitions and transformations for media that needs to be elucidated. Also, the possibility of cinema in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needs to be presented as important. Rather than dealing with all these discussion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cinema in the 21st century from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cinema. So, starting from the psychoanalytic discussion of regression, we will try to detect the possibility of cinema in the 21st century by examining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the body, the problematics of the body, and the discussion of experience in cinema.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에서 퇴행 속 놀이와 중간 시공간(transitional space-time)
3. 영화의 몸의 재현: 최면으로부터 침입으로
4. 나오며 : 디지털 사진과 영화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