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숙련 변화에 대응한 직업훈련교육과 대학교육 개선방안
이용수 4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in Response to Future Changes Based on KRIVET Study on National Skills Outl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봄이(Bom-I Kim) 김우철(Woocheol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625~6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장기적으로 추진해 온 국가숙련전망조사 결과의 유용성을 공유하고 활용도를 제고하는 차원에서 2018년 국가숙련전망조사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의 두 축인 직업훈련교육과 대학교육의 활용 방안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가숙련전망조사에서 숙련의 개념, 연도별 국가숙련전망조사의 주요추진 내용, 숙련과 NCS 직업기초능력의 관계를 통해 국가숙련전망조사의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 국가숙련전망조사의 주요결과 중 리얼타임 델파이 조사를 통한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직종별 국가숙련전망결과와 더불어 기술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 비중과 직종 내 숙련 중요도 변화 등 미래 변화를 고려한 3개의 시나리오(시나리오1: 전문가 의견 중심 기초 모형, 시나리오2: 핵심직종 숙련 변화 전망 모형, 시나리오3: 산업별 고용비중과 숙련 중요도 변화 모형)별 전망결과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서비스업, 제조업 모두 미래 숙련 중요도에서 문제처리능력과 공동체윤리가 가장 중요한 숙련으로 전망되었으며, 3개의 시나리오별 미래 숙련 전망결과 공통적 상위 순위로 전망된 영역은 문제처리능력, 자기관리능력, 시간관리능력, 팀워크능력, 기술적용능력, 업무이해능력, 근로윤리, 공동체윤리영역으로 나타났고, 그중 문제처리능력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숙련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시나리오에서 직업윤리에 해당하는 근로윤리와 공동체 윤리가 상위 숙련 중 5순위 내로 나타났으며, 팀워크능력은 시나리오2, 3에서 모두 3순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국가 수준의 숙련전망결과로 향후 10년 후의 변화를 고려하여 다각적으로 전망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다양한 직업훈련기관과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교에서 이러한 국가숙련전망조사 결과를 이해하고 10년 후 미래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직업훈련교육과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termines the usefulnes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on National Skills Outlook, which has been pursued in the long term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Methods We clarified the basics of the Study on National Skills Outlook through the concept of skills used in the study, the contents of major proceedings of the study by ye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lls and NC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blem-handling skills and communitarian ethics were to be the most important skills in future skills for both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areas predicted as the common top ranking for each of the three scenarios were problem-solving, self-management, time management, teamwork, technical application, and work comprehension skills, and work ethics. Among these, communitarian ethics and the problem-handling skills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kills in all scenarios. In all scenarios, work and communitarian ethics, which are part of vocational ethics, were ranked fifth, while teamwork skills were ranked third in Scenarios 2 and 3. The results of this broad national-level skills outlook allow us to examine the result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considering changes over the next decad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ed a way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at educate and train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companies and universities that nurture future talents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National Skills Outlook. Additionally, we presented a linkage plan that can be used for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and university 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active response to the next decade.
목차
Ⅰ. 서론
Ⅱ. 국가숙련전망조사 개요
Ⅲ. 조사 결과에 기반한 직업훈련교육 및 대학교육의 개선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대인관계능력, 학업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
- 상반행동 차별강화와 토큰강화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 장병의 자기결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집단창의성 구현을 위한 수학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생 디지털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
- 지리교육에서 음식의 정치·경제 지리학적 활용 연구
- 생활체육지도자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운영 탐색
- 지체장애인의 사회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 혁신에 관한 현장 교사의 경험과 비평
-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보건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
- 여성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사를 위한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평가도구의 개발
-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학습이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게슈탈트 기반 통합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사회과 소비자 교육에서 아동문학 활용 방안
- 주제 탐구 논술에서 자료 텍스트 선정 및 검토
- 수업의 동영상 촬영 방법 탐구
- 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 개발 방향
- 미술교육 환경이 중등학교 학습자의 교육만족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래 숙련 변화에 대응한 직업훈련교육과 대학교육 개선방안
- 코로나의 시간, 학력격차 논쟁을 넘어 학교 공동체에 대한 재음미
- 대학 외국인 유학생 수업 과제 발표의 구인별 평가 기준 적합성 검토
-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소규모학교 지원 기준 고찰
- 이주민과 정주민 관점에서 본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정신간호학 기반 간호대학생의 조현기능 뇌 신경망 디자인
- 간호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아동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경험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
- COVID-19 이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적 열정, 자기통제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운동정서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전환학습 경험 분석
- 전문대학 LINC+ 사업 참여 대학의 생산성 분석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 성취압력과 행동조절능력의 종단적 상호관계
- 긍정정서 억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해석 양식의 조절효과
- 비대면 화상상담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포괄적 성교육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내용 분석
- 쓰기부진 중학생 지원을 위한 쓰기 평가
- 청소년스포츠한마당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대학생의 그릿과 대인관계유능성,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은유 분석
-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감의 인식과 개선 방향
- 교사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 COVID-19로 인한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가 그릿을 매개로 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가부장적 사회에서 한 중년기 기혼 여성의 명절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0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