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수업 혁신에 관한 현장 교사의 경험과 비평
이용수 665
- 영문명
-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Criticisms with the Implementation of Reform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learning-centered classes, flipp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재성(Jae-seong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수업 혁신을 주제로 대표적인 수업 기법이 현장 교사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경험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로 초등학교의 대표적인 수업 혁신의 방법인 배움중심수업, 거꾸로교실, 프로젝트학습을 직접 실천한 이력이 있는 교사를 선정하였고, 질적연구방법의 대표적인 연구 기법인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그들의 경험을 질적 텍스트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움중심수업은 수업의 민주적인 가치와 학습자를 위한 협동 학습과 개별화된 학습의 가치를 잘 구현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결과를 평가하고 기록하는 데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거꾸로교실은 수업 형태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이 가장 큰 흥미를 느끼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초등학교 현장에 거꾸로교실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학습은 가장 오래된 기법이며 다양한 교과와 영역에 걸쳐 수업 사례가 축적되고 있었지만 가장 정교한 수업 기술을 요구하여 교사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결론 세 가지 수업 방법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가지고 초등교사들에게 적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수업과 평가 장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전략과 사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업 혁신을 추구하는 교사들을 위해 학교의 수준을 넘어서 다양한 교사들의 수업 실천과 어려움을 함께 이야기하는 장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수업 방법의 논의와 실천의 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chool teachers on the topic of reform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 teachers that implemented learning-centered classes, flipp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as representative methods of reform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Their experiences were translated into qualitative text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centered classes were good at embodying the democratic values of classes and the valu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ized learning for learners, but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assessing and recording classes; secondly, flipped learning attracted the greatest interest of learners for its unique form of lessons, but teachers believed that flipped learning was not completely fit for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and finally, project-based learning had an accumulation of lesson cases across various subjects and classrooms as the oldest technique, but teachers felt a burden with it as it required the most sophisticated lesson skill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help to expand a venue of discussion and practice for lesson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수업 혁신의 역사적 이해
Ⅲ. 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론
Ⅳ.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세 가지 수업 방법의 실천과 비평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대인관계능력, 학업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
- 상반행동 차별강화와 토큰강화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 장병의 자기결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집단창의성 구현을 위한 수학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생 디지털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
- 지리교육에서 음식의 정치·경제 지리학적 활용 연구
- 생활체육지도자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운영 탐색
- 지체장애인의 사회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 혁신에 관한 현장 교사의 경험과 비평
-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보건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
- 여성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사를 위한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평가도구의 개발
-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학습이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게슈탈트 기반 통합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사회과 소비자 교육에서 아동문학 활용 방안
- 주제 탐구 논술에서 자료 텍스트 선정 및 검토
- 수업의 동영상 촬영 방법 탐구
- 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 개발 방향
- 미술교육 환경이 중등학교 학습자의 교육만족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래 숙련 변화에 대응한 직업훈련교육과 대학교육 개선방안
- 코로나의 시간, 학력격차 논쟁을 넘어 학교 공동체에 대한 재음미
- 대학 외국인 유학생 수업 과제 발표의 구인별 평가 기준 적합성 검토
-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소규모학교 지원 기준 고찰
- 이주민과 정주민 관점에서 본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정신간호학 기반 간호대학생의 조현기능 뇌 신경망 디자인
- 간호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아동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경험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
- COVID-19 이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적 열정, 자기통제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운동정서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전환학습 경험 분석
- 전문대학 LINC+ 사업 참여 대학의 생산성 분석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 성취압력과 행동조절능력의 종단적 상호관계
- 긍정정서 억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해석 양식의 조절효과
- 비대면 화상상담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포괄적 성교육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내용 분석
- 쓰기부진 중학생 지원을 위한 쓰기 평가
- 청소년스포츠한마당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대학생의 그릿과 대인관계유능성,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은유 분석
-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감의 인식과 개선 방향
- 교사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 COVID-19로 인한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가 그릿을 매개로 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가부장적 사회에서 한 중년기 기혼 여성의 명절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0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