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제 탐구 논술에서 자료 텍스트 선정 및 검토
이용수 235
- 영문명
- Selection and review of source texts in subject inquiry essay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다운(Jeong Da-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523~5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선정 기준을 설정하여 적합성을 검토하고 향후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선정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J시의 G고등학교 여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 통합 주제 탐구 논술을 실시하였다. 주제 탐구 논술은 환경 문제와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로 세 개의 자료 텍스트를 읽고 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선정 기준은 적합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관련성의 원리, 실제성의 원리의 네 가지로 추출되었다. 둘째, 주제 탐구 논술에 활용된 자료 텍스트는 일반 텍스트 선정 기준에는 다소 부족한 특성이 있었으나,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선정 기준에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선정 방안으로 자료 텍스트 읽기에 필요한 능력을 검토하고 읽기와 쓰기 통합 상황에서의 자료 텍스트의 선정 기준 파악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자료 텍스트 읽기에 필요한 요소로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을, 읽기와 쓰기 통합 자료로서의 관련성, 응집성, 상호텍스트성을 추출하여 주제 탐구 논술에 활용된 자료 텍스트를 분석하여 제안한 방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주제 탐구 논술에서의 자료 텍스트 선정 기준 및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criteria for selecting material texts for subject inquiry essays, to review their suitability, and to propose a method for selecting material texts for subject inquiry essays in the future.
Methods For this purpose, in 2020, a reading and writing integrated theme inquiry essay was conducted for 148 female students from G high school in J city. In the subject inquiry essay, students were asked to read and write three texts under the them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lution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for selecting material texts for the subject inquiry essay were extracted into four categories: the principle of relevance, the principle of integrity, the principle of relevance, and the principle of practicality. Second, although the source texts used in the subject inquiry essay had characteristics that were somewhat lacking in the standard text selection criteria,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material text selection criteria were suitable for the subject inquiry essay writing criteria. Third, as a method for selecting source texts for subject inquiry essays, the ability to read source texts was reviewed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source texts in a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situation were suggested. Specifically, the basis for the proposed method by analyzing the text used in the subject inquiry essay by extracting the understanding and analysis ability of the text as a necessary element for reading the material text, and the relevance, cohesion, and intertextuality as a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material has been prepared.
Conclusion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 basic study to prepare criteria and methods for selecting texts for material in subject inquiry essays.
목차
Ⅰ. 서론
Ⅱ. 작문 교육과 자료 텍스트 선정
Ⅲ. 연구 방법
Ⅳ. 주제 탐구 논술의 자료 텍스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대인관계능력, 학업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
- 상반행동 차별강화와 토큰강화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 장병의 자기결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집단창의성 구현을 위한 수학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생 디지털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
- 지리교육에서 음식의 정치·경제 지리학적 활용 연구
- 생활체육지도자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운영 탐색
- 지체장애인의 사회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 혁신에 관한 현장 교사의 경험과 비평
-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보건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
- 여성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사를 위한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평가도구의 개발
-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학습이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게슈탈트 기반 통합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사회과 소비자 교육에서 아동문학 활용 방안
- 주제 탐구 논술에서 자료 텍스트 선정 및 검토
- 수업의 동영상 촬영 방법 탐구
- 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 개발 방향
- 미술교육 환경이 중등학교 학습자의 교육만족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래 숙련 변화에 대응한 직업훈련교육과 대학교육 개선방안
- 코로나의 시간, 학력격차 논쟁을 넘어 학교 공동체에 대한 재음미
- 대학 외국인 유학생 수업 과제 발표의 구인별 평가 기준 적합성 검토
-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소규모학교 지원 기준 고찰
- 이주민과 정주민 관점에서 본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정신간호학 기반 간호대학생의 조현기능 뇌 신경망 디자인
- 간호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아동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경험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
- COVID-19 이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적 열정, 자기통제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운동정서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전환학습 경험 분석
- 전문대학 LINC+ 사업 참여 대학의 생산성 분석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 성취압력과 행동조절능력의 종단적 상호관계
- 긍정정서 억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해석 양식의 조절효과
- 비대면 화상상담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포괄적 성교육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내용 분석
- 쓰기부진 중학생 지원을 위한 쓰기 평가
- 청소년스포츠한마당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대학생의 그릿과 대인관계유능성,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은유 분석
-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감의 인식과 개선 방향
- 교사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 COVID-19로 인한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가 그릿을 매개로 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가부장적 사회에서 한 중년기 기혼 여성의 명절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0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