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체계 제안과 적용
이용수 446
- 영문명
- Proposal and application of an interaction analysis system in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Focused on online art learning ac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은(Lee, Jung E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6券 1號, 164~193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기 위한 분석 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교수자이자 연구자로서 가지게 되는 성찰과 반성을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사회학에 기초를 둔 상호작용 과정 분석(Interaction Process Analysis)은 여러 교과교육 연구에 적용되어 교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상호작용 분석 체계가 다수 제시되었다. 그러나 미술 교과에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적절한 분석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상호작용 분석 체계 제안과 교육현장에서의 실행연구를 통해 미술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학습단계별 양상을 살펴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교수·학습 환경,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자료, 교수자 역할의 측면에서 다면적으로 성찰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lysis system to more closely understand learners interactions in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and to apply it to the educational field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reflection as an instructor and researcher.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based on sociolog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subject education studies, and a number of interaction analysis system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have been presented. However, in art subject, there is no appropriate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so the need for research on this was deriv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on this were presente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art learning by proposing an interaction analysis syst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ction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research results,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role of instructors were reflected in multiple ways, an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Ⅱ. 상호작용 과정 분석(Interaction Process Analysis)
Ⅲ. 미술 교과를 위한 상호작용 분석 도구 제안
Ⅳ. 상호작용 분석 체계를 적용한 실행연구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