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이용수 287
- 영문명
- South Korea s response to North Korea 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민호(Min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2호, 229~2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은 6.25 전쟁 이후 핵무기 개발을 시도하여 여섯 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네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2018년 핵 무력 국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핵무기 투발 수단인 미사일 성능은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 하였으며, 2022년에도 현재까지 11차례의 미사일 도발을 자행하였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의 억제 및 대응전략은 지나치게 수세적이며 희망적 사고에 젖어 있다. 따라서 북핵 위협에 거부적 억제를 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Soft-kill 개념’과 명백한 핵 도발 징후 임박 시에는 자위권 차원의 선제타격을 할 수 있는 ‘Hard-kill 개념’을 동시에 적용하여 상호 보완하는 대응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북한의 핵무기 사용 억제를 위해 한반도에 전술핵무기 재배치를 신중히 검토해야한다. 그럼에도 북한이 핵미사일을 발사한다면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에 종말단계에서 상층-중층-하층 방어가 가능한 다중요격체계의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attempted to develop nuclear weapons and conducted six nuclear tests, especially the Kim Jong-un regime officially declared a nuclear-armed state in 2018 through four nuclear tests. In addition, missile performance, a means of launching nuclear weapons, has test-fire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that could threaten the U.S. mainland, and has carried out nine missile provocations so far in 2022. However, South Korea s deterrence and response strategy to North Korea s nuclear threats and missile provocations is overly defensive and immersed in hopeful thinking. Therefore, the soft-kill concept in military terms to suppress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he hard-kill concept that can preemptively strike at the level of self-defense should be applied at the same time to complement each other. In addition, the relocation of tactical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curb North Korea s use of nuclear weapons. Nevertheless, if North Korea fires a nuclear missi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ulti-intercept system capable of upper-middle-lower-level defense at the end of the year before reaching the target.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 경과
Ⅲ. 외국의 핵 억제 및 미사일 방어체계 분석
Ⅳ. 북핵 위협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핵에 대한 현장사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북핵 위협 대비 현실적 대응방안 모색
-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국회의원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선방안
- 听课方式对网络直播韩语课满意度的影响
- Why Do Small States Adopt Divergent Alignment Policies? : The Alignment Policies of Indonesia and Thailand in the Early 1950s
-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목차
- The Drivers of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Policy toward Peru
-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 몽골 오흐나 후렐수흐(UKHNAA Khurelsukh)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몽골의 국정 목표
- 미중전략경쟁과 북한의 ‘사실상 핵보유국화’ 상관성에 관한 연구
- From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o the Politics of Antagonism : The Rise of Populism and the Retreat of Democracy in Post-Communist Hungary
- 한국의 선거구 획정 기준과 정치적 평등
-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 정치적 상상력을 활용한 메타버스 DMZ 관광 구축 방안
- 한류열풍 속 한국 소프트 파워와 홍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