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이용수 280
- 영문명
- China s Rise as a Maritime Power and New Development of U.S.-China Hegemonic War : Focusing on Advanced Missile Technology and Changes of Offense-Defense Balance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윤혜령(Yun, Hey-l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2호, 271~2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은 미중 패권경쟁의 양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탄도미사일, 순항미사일, 초음속 순항미사일 등과 같은 첨단 미사일을 중심으로 진행된 중국 해군의 군사 무기체계 변화는 공세적 군사전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선포한 시진핑 주석은 ‘해양강국 건설’을 선언하며 방어 중심의 군사전략에서 탈피하여, 힘의 투사력과 국익의 범위를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바이든 정부 역시 쿼드(Quad)를 축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동맹을 강화하고 있으며, 강력한 對중국 봉쇄 및 견제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격-방어 균형 이론’을 통해 공격이 우월 전략인 안보환경에서는 안보의 딜레마가 심화되며, 이로 인한 우발적 무력충돌과 오판은 참혹한 전쟁으로 귀결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또한, 비대칭적 군사전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미중 간의 新패권경쟁이 과거의 전면전과는 어떤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영문 초록
Advancement of science technology brings about changes in development of hegemonic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Especially, transition of PLAN(People’s Liberation Army Navy)’s weapon system with more focus given to ballistic missile, cruise missile, and supersonic cruise missile, provides favorable setting for China to pursue offensive strategy. Declaring rejuvenation of Chinese nation, Xi Jinping extends power projection and national interests while giving emphasis on becoming a great maritime power. In response, Biden administration also strengthen military alliance and Quad as part of its Indo-Pacific Strategy and carry out containment strategy towards China. By adopting ‘offense-defense balance theory’, this study alarms that security dilemma will gets worsened under offense dominant security environment and accidental clashes and miscalculation can cause devastating wa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how new developments of hegemonic war between U.S. and China will be different from previous hegemonic war with advancement of new science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공격-방어 균형이론을 통해 본 중국의 강군몽
Ⅲ. 첨단미사일 기술 발전과 중국의 해양굴기
Ⅳ.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핵에 대한 현장사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북핵 위협 대비 현실적 대응방안 모색
-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국회의원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선방안
- 听课方式对网络直播韩语课满意度的影响
- Why Do Small States Adopt Divergent Alignment Policies? : The Alignment Policies of Indonesia and Thailand in the Early 1950s
-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목차
- The Drivers of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Policy toward Peru
-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 몽골 오흐나 후렐수흐(UKHNAA Khurelsukh)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몽골의 국정 목표
- 미중전략경쟁과 북한의 ‘사실상 핵보유국화’ 상관성에 관한 연구
- From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o the Politics of Antagonism : The Rise of Populism and the Retreat of Democracy in Post-Communist Hungary
- 한국의 선거구 획정 기준과 정치적 평등
-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 정치적 상상력을 활용한 메타버스 DMZ 관광 구축 방안
- 한류열풍 속 한국 소프트 파워와 홍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