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핵 위협 대비 현실적 대응방안 모색
이용수 262
- 영문명
- Realistic Countermeasures against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 Focusing on Nuclear Deterrence and Protectio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박재완(Park, Jae-wan) 정일성(Jeong, Ill-s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2호, 251~2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은 지속적으로 핵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북핵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억제 및 방호를 중심으로 현실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명확한 북핵 위협을 실체를 인식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북핵 대응 정책의 전면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확장억제의 실행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넷째 가용한 모든 수단을 활용하여 포괄적 전방위 억제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억제 실패에 대비한 실질적인 핵방호 및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러한 대응방안을 강구함에 있어 결단과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한국형 핵공유와 핵동맹 등 특단의 대책도 필요하다. 그리고 세부적인 로드맵과 강력한 실행계획을 바탕으로 북핵 위협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North Korea is continuously upgrading its nuclear cap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NK nuclear threat. The counter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K nuclear threat. Second, it is necessary to overhaul NK nuclear policy. Third, the execution power of extended deterrence must be enhanced based on the ROK-US alliance. Fourth, comprehensive full spectrum deterrence measures should be devised by utilizing all available means. Finally, nuclear protection and damage minimization measures should be devised in preparation for deterrence failure. In devising these measures, determination and the formation of public consensus are essential. Special measures such as Korean-style nuclear sharing and nuclear alliance are also needed. And based on a detailed roadmap and a strong action plan, it will be necessary to thoroughly prepare for the NK nuclear threa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북핵 위협 현실태
Ⅳ. 북핵 위협 대응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핵에 대한 현장사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북핵 위협 대비 현실적 대응방안 모색
-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국회의원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선방안
- 听课方式对网络直播韩语课满意度的影响
- Why Do Small States Adopt Divergent Alignment Policies? : The Alignment Policies of Indonesia and Thailand in the Early 1950s
-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목차
- The Drivers of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Policy toward Peru
-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 몽골 오흐나 후렐수흐(UKHNAA Khurelsukh)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몽골의 국정 목표
- 미중전략경쟁과 북한의 ‘사실상 핵보유국화’ 상관성에 관한 연구
- From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o the Politics of Antagonism : The Rise of Populism and the Retreat of Democracy in Post-Communist Hungary
- 한국의 선거구 획정 기준과 정치적 평등
-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 정치적 상상력을 활용한 메타버스 DMZ 관광 구축 방안
- 한류열풍 속 한국 소프트 파워와 홍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