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Drivers of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Policy toward Peru
이용수 1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명석영(Sukyoung Myung) 정호윤(Hoyoo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2호, 299~33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은 2021년 10월 페루의 수도 리마에 한-페루 디지털정부 협력센터를 설립함으로써 한국형 디지털정부의 경험을 전수하게됨과 동시에 페루와의 심도깊은 디지털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對)페루 디지털정부 협력을 추동하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대외 원조의 결정 요인에 대한 기존의 문헌들은 공여국의 경제적 이익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전의 연구들은 정치적 관점에서 페루와 한국의 디지털 정부 협력을 설명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 체계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제관계학의 분석 수준(levels of analysis) 분석 틀을 활용함으로써 양국 간의 디지털 협력을 이끈 주요 정치적 동인을 검토한다. 본고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한국을 디지털 정부 협력의 가장 좋은 파트너로 여기는 페루의 인식과 디지털 분야의 리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화함으로써 연성권력을 제고하는데 대한 한국의 적극적 관심이 교차점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국내적으로는 디지털정부 추진 및 ODA 중점협력국의 전략적 선정 등 디지털정부와 관련된 국내의 정치사회적 동학을 양국간 디지털정부 협력을 이끈 주요 관련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South Korea has embarked on new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with Peru by establishing Korea-Peru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Centre in Lima. How can we explain South Korea-Peru digital cooperation? What drives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with Peru? Existing literature on determinants of South Korea’s foreign assistance has focused heavily on the donor’s economic self-interest. Previous studies thus failed to offer a relevant analy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with Peru from a political standpoint. To fill this gap, this study examines key political drivers that have led to digital cooperation between both countries by employing a “level of analysis” framework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at an international level, Peru’s perception of Korea as the best partner for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combined with Korea’s interest in enhancing soft power through recognition as a leader in the digital area, created a crossroad. At a domestic level, a government-led plan to promote the digital government and strategical selection of priority partner countries for ODA can be considered relevant factors of the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Ⅲ. Analytical Framework
Ⅳ. The Political Impetus for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with Peru
Ⅴ. Conclusion
Bibliograph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핵에 대한 현장사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북핵 위협 대비 현실적 대응방안 모색
-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국회의원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선방안
- 听课方式对网络直播韩语课满意度的影响
- Why Do Small States Adopt Divergent Alignment Policies? : The Alignment Policies of Indonesia and Thailand in the Early 1950s
-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목차
- The Drivers of South Korea’s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Policy toward Peru
-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 방향
- 몽골 오흐나 후렐수흐(UKHNAA Khurelsukh)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몽골의 국정 목표
- 미중전략경쟁과 북한의 ‘사실상 핵보유국화’ 상관성에 관한 연구
- From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o the Politics of Antagonism : The Rise of Populism and the Retreat of Democracy in Post-Communist Hungary
- 한국의 선거구 획정 기준과 정치적 평등
- 중국의 해양굴기와 미중 新해양패권경쟁
- 정치적 상상력을 활용한 메타버스 DMZ 관광 구축 방안
- 한류열풍 속 한국 소프트 파워와 홍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