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이양시 예술대학 2학년 대학생들의 자아상태와 목표지향성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용수 157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 between Ego-State and Goal Orientation of Sophomore Art University Students in Yiyang City of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용(Yong Yang) 고영춘(Young Chun K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이양시 두 개 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상태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목표지향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자아상태와 목표지향성 간에 부분 혹은 완전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 아니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이양시에 있는 두 개 대학의 예술학과 2학년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5의 프로그램은 자아상태, 스트르레스 대처방식 및 목표지향성에 관한 신뢰도, 상관관계, 회귀의 분석 등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들에 의하면 자아상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설명력을 52% 정도, 목표지향성에 관한 설명력을 34% 정도 나타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경우, 목표지향성에 대한 26%의 설명력을 가졌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자아상태가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양시의 예술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자유로움 속에서 학교생활 환경 및 사회적 환경들이 조성되어야 하고, 사람들 간에 정서적 관계 혹은 바람 위주의 업무추진보다는 문제중심적 업무의 추진과 사고들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ego-state and stress coping methods affect goal orientation for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Yiyang City, China.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sophomore of Art university students in Yiyang City. The program of SPSS 25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ego-state, stress coping method, and goal orient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go-state showed 52% explanatory power for stress coping methods and 34% explanatory power for goal orientation. In the case of the stress coping method, it had 26% explanatory power for goal ori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coping method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ego-state on goal orient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goal orientation of art university students in Yiyang City, school life environments and social environments must be created in freedom, and problem-oriented work promotion and thinking are required rather than emotional relationships or desire-oriented work among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ncert Band in Music Therapy on Social Anxiety Intervention for Chinese Medical College Students
-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돌봄인식과 스마트폰 사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 표현의 분석적 고찰
- COVID-19시대 대학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컨설팅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대학생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성인학습자 대상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에서 창의핵심역량을 적용한 PBL수업에 대한 형성적 연구
- 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 대학에서의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모색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 관계에서 학습 무기력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유형에 대한 Q방법론적 접근
-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따른 만3세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 A Study on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Exercise Attitude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 예비체육교사 교육자의 비대면 강의 운영을 통한 교육적 성장의 가치 탐색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Korean Grammar Utilizing Corpora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이 예비중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관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 주기적 반복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학습 시스템 개발 연구
- 2019 개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음악놀이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들의 심미적 경험
-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 시각적 지원을 적용한 음악교육 방안
- 중국 이양시 예술대학 2학년 대학생들의 자아상태와 목표지향성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동의 그릿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유형 분류 및 설명요인 탐색
- 경쟁기반 학업의 심리적 경험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간의 관계
- 성인 문해학습자의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
- 통합운영학교 예산운용 실태 및 쟁점 분석
- 층간소음을 다룬 그림책에 나타난 갈등 구조 분석
- 의과대학 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행동 간의 관계
-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와인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알아차림 주의자각,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영향 요인 간 인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 의미 탐색
- hVda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상담자 관련 척도 연구의 동향 분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띄어쓰기 등급별 교육 방안 연구
- 정서표현 양가성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 간호대학신입생의 우울증인식,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관한 연구
-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놀이 맥락에 따른 영아의 사회적 행동
-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 아동의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Happiness) 및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3호 목차
- COVID-19 상황 하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