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Supply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by Parts Functi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김현호(Hyunho Kim) 최동현(Donghy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317~33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Covid19) 사태로 인해 자동차 공급사슬에서의 단절(Disruption)로 인한 문제가 더욱 부각 되었고 무엇보다 안정적인 공급체인 구성이 기업의 생존에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복잡한 공급사슬 구조를 가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부품산업은 각 공급업체별 개별적 분석으로 전체를 이해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좀 더 확장된 시각에서의 폭넓은 부품 네트워크의 실증적 분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자동차산업을 사회연결망분석(SNA_Social Network Analysis)기반하여 부품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각 개별 기업별 중심성(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을 특정 부품(브레이크 등)으로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기능별로 구분하여 대부분의 주요 부품을 포함시켜서 각 부품의 한국자동차산업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자동차사산업의 부품기능별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산업현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분류체계 중에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수출입 자동차 부품 집계용으로 분류 사용하고 있는 6대 분류체계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 외향연결중심성(방향성 있음/없음)과 매개 중심성(방향성 없음)에서 부품기능별 유의미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자동차산업에서의 부품기능별 부품 네트워크 특성 이해와 더불어 한국자동차산업 정책 전반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the automotive supply chain structure has received greater focus due to the disruption caused by Covid-19. Above all, a sustainable supply chain is now essential for companies’ survival. Particularly,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which has a complex supply chain structure,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rough individual supplier analysis. Therefore,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structure of the auto parts supply chai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broad network. We analyzed the auto parts network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he centrality of each individual company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with specific parts (brakes, etc.). This study included the auto parts, classified by function and most major par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by part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rt groups based on function wit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is study can provide the automobile industry policy suggestion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tomobile parts network.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론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목차
- 한국자동차 산업에서의 부품기능에 따른 공급네트워크 특성 분석 연구
- 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 제약과 정부지원제도가 물류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급망 친화성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공유의 매개효과 분석
- 서비스 프로세스 내 고객유발성변동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COVID-19환경의 스마트워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매개로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고객사와의 통합에 따른 공급사슬 내 입고 품질의 영향 연구
- 수요사슬 운영방안에 대한 제조업 적용 가능성 분석
- 재고관리 성과가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 소비자의 CCM인증(소비자중심경영)기업에 대한 인식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SG 경영 기대와 태도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