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oject Management on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Forecasting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이헌창(Heon chang Lee) 김승철(Seung-chul Kim) 박소현(So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479~4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건설프로젝트는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으며 다수의 개별 사업들이 종합적으로 연계된 복합사업으로 발주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프로젝트 수행의 위험도는 증가하고 있고 프로젝트 관리역량 부족으로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에서 프로젝트 관리가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가 기업의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약관리와 리스크관리가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약관리 및 멀티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는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장기적인 프로젝트 성과 및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의 표준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PM 시장 진출에 일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construction projects are increasing in complexity and size, and the number of projects that are comprehensively linked complex project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risk regarding project implementation is increasing—consequently, the loss caused by the lack of project management capabilities of engineers is also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growing perception that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is necessary to ensure strong project performance, that is, project management is essential for ensuring that project completion criteria are fulfille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roject management on short- term project performance and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in the project-based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and the effect of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on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of companies. Consequently,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contract and risk management affect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contract and multi-project management influence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influences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Thus, this study proved that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is necessary for ensuring strong performance of long-term projects and goal achieve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thus, project management enhanc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se companies, facilitating their entry in the high value-added PM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목차
- 한국자동차 산업에서의 부품기능에 따른 공급네트워크 특성 분석 연구
- 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 제약과 정부지원제도가 물류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급망 친화성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공유의 매개효과 분석
- 서비스 프로세스 내 고객유발성변동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COVID-19환경의 스마트워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매개로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고객사와의 통합에 따른 공급사슬 내 입고 품질의 영향 연구
- 수요사슬 운영방안에 대한 제조업 적용 가능성 분석
- 재고관리 성과가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상품혁신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전환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신기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핀테크 초기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전략 연구 : 핀테크 투자사와 창업자 관점의 실증 분석
- Entrepreneurship&ESG연구 제5권 제3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