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mand Chain Operational Solution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 New Retai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동문엽(Wenye Dong) 박승욱(Seongwook Park) 이돈희(Do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335~3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유통산업을 중심으로 도입된 신유통 관점이 제조업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였고,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중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0일 ~ 2월 17일까지 구매(PMs)와 공급사슬 업무 경험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으로 500부를 배포하여 총 273(54.6%)부가 회수되었고, 무응답 등의 설문지를 제외한 248(49.6%)부를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신유통 기반의 수요사슬 운영의 선행요인인 고객수요 분석능력, 생산대응능력, 공급업체와의 협업능력은 신유통 기반의 수요사슬 운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유통 기반의 수요사슬 운영은 경영성과인 효율적인 배송, 수요계획,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신유통 개념을 제조업에도 적용할 수 있고, 수요자 중심(예, 수요사슬)의 운영방식은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우위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제조업체가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시장의 역동성을 고려하면서 민첩한 서비스 및 공급 전략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s a new retail perspective for demand chain operational solution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proposes a research model with associated hypothes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 valid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customer demand analysis, production response, and cooperation capabilities with suppliers and antecedents of retail-based demand chain operations have positive impacts on demand chain operations. The proposed retail-based demand chain oper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 distribution, demand planning, and flexibility of operations manage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new retail concept can also b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hat can help manufacturing companies develop agile service and supply strategies while considering the diverse demands of customers and the dynamism of the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방법론
Ⅴ. 결론 및 한계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목차
- 한국자동차 산업에서의 부품기능에 따른 공급네트워크 특성 분석 연구
- 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 제약과 정부지원제도가 물류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급망 친화성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공유의 매개효과 분석
- 서비스 프로세스 내 고객유발성변동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COVID-19환경의 스마트워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매개로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고객사와의 통합에 따른 공급사슬 내 입고 품질의 영향 연구
- 수요사슬 운영방안에 대한 제조업 적용 가능성 분석
- 재고관리 성과가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