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mart Work in the COVID-19 Environment on Work Productivity through Technostress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노혜영(Hye-young Noh) 이다솔(dasol Lee) 이정훈(Jung-Hoon Lee) 이민우(Min-w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357~3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변하는 환경에 ICT 기술의 발전은 스마트워크(Smart Work)라는 새로운 근무형태를 도입할 수 있게 하였다. 기업이 스마트워크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9년 발생한 COVID-19의 확산은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번지게 되었고, 스마트워크 도입의 목적을 변화시켰다. 스마트워크 중 재택근무가 질병관리청의 COVID-19 방역 조치사항 중 하나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테크노스트레스는 스마트워크를 비롯한 ICT 기술을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로 낮은 성과, 목표 저해 등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난다. 성과 향상을 위한 스마트워크가 COVID-19환경에 도입됨으로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를 살펴보고, 테크노스트레스를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 환경에서 스마트워크의 근무형태인 재택근무를 도입한 사무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으로 각 스마트워크의 장소, 기술, 시간, 사람, 프로세스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랩 분석과 Sobel test를 통하여 테크노스트레스의 간접효과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과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던 스마트워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통해 업무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장소는 테크노스트레스를 낮추고 총 효과도 더 높게 나타났으나, 기술은 테크노스트레스를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총 효과를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가 앞으로 COVID-19가 가져온 업무환경의 변화를 연구하는 데 기여될 수 있길 바라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has allowed the introduction of a new form of work known as “smart work.” Companies are interested in smart work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many positive effects. However, in 2019, the COVID-19 outbreak expanded to a pandemic crisis, greatly changing the purpose of introducing smart work. Among forms of smart work, telecommuting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OVID-19. Against this backdrop, the technology urgently introduced due to the COVID-19 environment is expected to increase so-called technostress. This study was aimed at office workers who introduced telecommuting during the pandemic.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 analyzed the impact of location, technology, time, people, and processes of each form of smart work on work productivity. We also examined the indirect effects of technostress through bootstrap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smart work introduced to improve performance was causing technostress, and techno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work produ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4號 목차
- 한국자동차 산업에서의 부품기능에 따른 공급네트워크 특성 분석 연구
- 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 제약과 정부지원제도가 물류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급망 친화성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공유의 매개효과 분석
- 서비스 프로세스 내 고객유발성변동의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COVID-19환경의 스마트워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매개로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고객사와의 통합에 따른 공급사슬 내 입고 품질의 영향 연구
- 수요사슬 운영방안에 대한 제조업 적용 가능성 분석
- 재고관리 성과가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대학의 GWP 조직문화와 대학생의 GRIT이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
- 외식업에서의 무인 키오스크 도입 효과 분석: 고객 수요 수준에 따른 성과 차이
- 전자산업 공급네트워크에서의 중개자 역할 분석: 활동성과 독점성 중심의 정량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