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小有亭題詠錄』을 통해서 본 금호강 江岸文學

이용수  95

영문명
Research on “Soyojeong-jeyeongrok”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충희(Kim, chunghee)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6輯, 35~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小有亭은 松潭 蔡應麟(1529~1584)이 대구시 북구 검단동 금호강 강변에 지었던 정자이다. 이 정자는 금호강을 내려다 보고 멀리 팔공산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이 정자는 전망이 아름다웠고, 많은 선비들이 통행하던 금호강 언덕에 있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영남 지역에서 이름난 정자가 되었다. 채응린은 대구 최초의 서원인 硏經書院의 講學에 참여한 학자이다. 채응린의 친구인 溪東 全慶昌(1532~1585)은 일찍이 退溪의 문하에 나아가 性理學에 대한 가르침을 받은 바 있는데, 채응린은 전경창에게서 퇴계의 학문을 전수 받은 바 있다. 『小有亭題詠錄』은 소유정을 방문한 사람들이 남긴 시를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 시를 남긴 사람들을 검토해보면, 17세기 무렵에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와 관료들은 대부분 小有亭을 방문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徐思遠, 郭再謙, 孫處訥, 徐思選, 孫處約, 孫遴, 都聖兪, 李潤雨, 李文雨, 蔡楙 등은 대구나 대구 인근 지역에서 활약한 학자들이다. 그들은 退溪의 성리학을 대구 지역에 전파한 全慶昌, 蔡應麟, 鄭師哲 등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그 무렵에 성주와 대구 지역에서 講學한 이름난 학자인 寒岡 鄭逑의 제자들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小有亭題詠錄』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소유정이 16세기~17세기에 대구 지역에 거주하던 文人이나 學者들이 찾아와 경전을 강론하고 시를 吟誦하던 장소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小有亭題詠錄』을 살펴보면 그 무렵에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가 누구인지가 드러난다. 둘째, 소유정은 16~17세기에 금호강 연안 정자 문화의 선두 주자였기 때문이다. 이 당시에 금호강은 배를 이용하여 쉽게 이동하는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금호강 주변에 선비들이 모이는 서원이나 정자가 지어지게 되었다. 16세기 말에 소유정이 지어질 무렵부터 금호강 연안에는 많은 정자들이 지어지게 된다. 이 당시에 금호강 연안에 지어진 정자는 선비들의 강학 공간이며 휴식 공간이었다. 『小有亭題詠錄』에는 금호강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선비들의 모임이나 선비들의 활동이 드러나기도 하고, 강변에서 느끼는 선비들의 정서가 드러나기도 한다. 그 결과 『小有亭題詠錄』을 통해 금호강 유역에서 일어나는 江岸文學의 일단을 살필 수 있다.

영문 초록

Soyoujeong Pavilion was built by Chae Eung-rin(1529~1584), along the Geumho River in Geomdan-dong, Buk-gu, Daegu. The pavilion was located at a location where you can look down at the Geumho River and look at Palgongsan Mountain in the distance. This pavilion had a beautiful view. At that time, it became a famous pavilion in Yeongnam region because it was located on the hill of the Geumho River, where many scholars used to go. Chae Eung-rin was a scholar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onference of Yeongye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e first Confucian academy in Daegu. In the early days of Chae Eung-rin s friend Jeon Gyeong-chang(1532~1585), he was taught Neo-Confucianism by Toegye, and Chae Eung-rin was taught the study of Toegye by Jeon Gyeong-chang. “Soyojeong-jeyeongrok” is a book that records poems left by visitors to Soyoujeong. If you look at the people who wrote poems in the book, most scholars and officials from Daegu visited So Yujeong in the 17th century. Seo Sa-won, Kwak Jae-gyeom, Son Chun-ul, Seo Sa-seon, Son Cheoyak, Son Lin, Do seongyu, Lee Yun-woo, Lee Mun-woo, and scholars who have been active in Daegu or nearby Daegu. They inherited the academic backgrounds of Jeon Gyeong-chang, Chae Eung-rin, and Jeong Jeong-cheol, who spread Toegye s studies to the Daegu area. He is also a disciple of Jeong-gu, a famous scholar. There are two reasons why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Soyojeong-jeyeongrok” in this paper. First, Soyoujeong Pavilion was widely known as a place for scholars living in Daegu from the 16th to 17th centuries. Therefore, if you look at the “Soyojeong-jeyeongrok”, you can see who was a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Daegu area at that time. Second, Soyoujeong was a leader in the Pavilion culture of the Geumho River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t that time, the Geumho River served as a transportation route that was easily moved by boat. Therefore, many pavilion was built around the Geumho River where scholars gathered. “Soyojeong-jeyeongrok” reveals the activities of scholars and scholars along the coast of the Geumho River, and the emotions of scholars along the riverside.

목차

1. 머리말
2. 『小有亭題詠錄』의 구성과 내용
3. 『小有亭題詠錄』의 문학사적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충희(Kim, chunghee). (2021).『小有亭題詠錄』을 통해서 본 금호강 江岸文學. 대동한문학, 66 , 35-62

MLA

김충희(Kim, chunghee). "『小有亭題詠錄』을 통해서 본 금호강 江岸文學." 대동한문학, 66.(2021): 3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