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敬窩 金烋의 『朝聞錄』一考察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Jomunrok(朝聞錄) written by Kyungwa(敬窩) KimHyu(金烋)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丘京阿(Koo, Kyeong-a)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6輯, 273~30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敬窩 金烋(1597~1638)는 스승 張顯光의 명에 따라 1616년부터 1637년까지 22년 동안, 우리나라 최초의 서적 해제집이자 조선중기 백과전서식 저술의 시초인 6권의 『海東文獻總錄』을 집필하였다. 이 책이 완성된 뒤 바로 退溪의 「小學圖」, 陽村의 「大學圖」와 「中庸首章圖」, 朱子의 「朱子敬齋箴圖」 등 선현의 圖式을 그대로 계승하는 한편, 『소학』, 『대학』, 『주역』,『맹자』, 『중용』, 『논어』, 『詩傳』, 『書傳』등의 요지 및 「楊震四知圖」, 「眞西山思誠齋箴圖」, 「溫公對人圖」, 「淸獻告天圖」 등에서 공부와 수양의 요긴처를 뽑아 모두 33개의 그림으로 도식화하였다. 이를 총괄하여 「朝聞錄總圖」로 정리하고 설을 덧붙였고, 이 도설을 모아 ‘朝聞錄’이라 이름을 붙였다. 「조문록총도」의 핵심은 ‘誠’이며, ‘下學’을 통해 ‘上達’에 이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김휴가 역대 문헌을 정리하면서 축적된 그의 학문적 지취가 드러난 『朝聞錄』의 초고본과 간행본을 비교 검토하여 도표와 설의 배치, 도설의 순서, 내용의 첨삭 등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하여 두 책의 차이점을 드러내 『朝聞錄』의 전모를 간략히 밝혀보았다. 그 가운데 「조문록총도」를 보는 순서와 내용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고, 학자들이 학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入門書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영문 초록
KimHyu(金烋) followed the example of Lee Hwang s 「Sohakdo(小學圖)」, Kwon Geun s 「Daehakdo(大學圖)」, 「Illustration on The First Chapter of Jung-yong(中庸首章圖)」, 「Illustration on Zhu Xi s Kyungjaejam(朱子敬齋箴圖)」 as it. And He expressed the core of his learning and self-discipline in 33 paintings. Then He added an explanation to the painting. The title of this painting is 『Jomundo』. And He arranged it under the name of 「Jomunrokchongdo(朝聞錄總圖)」. The essence of this painting is Sung(誠). The goal of this painting is to Hahak through Sangdal. The book has an original and a publication. So I compared the two and revealed the difference. Through research, I found the order in which I read the 「Jomunrokchongdo」. And I learned the contents of the picture. KimHyu expected this book to serve as a guide for learning and self-discipline.
목차
1. 머리말
2. 敬窩 金烋의 삶과 저술
3. 朝聞錄 의 초고본과 간행본 비교
4. 「朝聞錄總圖」 읽기
5. 마무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