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자문화권 한문(古典文言文)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영역에 관하여
이용수 1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Literary Sinitic Education Education and the Field of Research in Sino-sphere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許喆(Heo, Chul)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6輯, 309~3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漢文(古典文言文)은 漢字라는 문자체계와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어법형식을 공유한 文言을 가르킨다. 한문(고전문언문)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과 중국의 주변 국가에서 자국어문과 함께 사용되면서 관어(官語)이자 지식과 문화 교류, 축적과 생산의 도구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별 국가들은 전근대 어문 개혁 이후에도 한문(고전문언문)을 死語化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으로서의 한문(고전문언문)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정하고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한문』교과’라는 제한된 영역을 벗어나 현재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과 관련된 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연구 영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적 한자문화권에 속하였던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첫째, 개별 지역과 국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며, 둘째, 한문 교과 내적으로 볼 때는 한국에서의 한문 교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재, 평가의 방법 등의 모색해 이바지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셋째,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으며, 넷째,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고유한 특성 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Literary Sinitic refers to the Han-character system and to the form of grammar based on ancient Chinese. Literary Sinitic was a standard language and instrument of knowledge, cultural exchang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after the outbreak in Chin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out the Middle Ages. Due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dividual countries recognize and maintain the value and need of Literary Sinitic as an education, despite the abolition of Literary Sinitic after the reform of the pre-moder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my research and specific areas of research related to Literary Sinitic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each region and country, beyond the limited scope of Han Mun in Korea. Reviewing the Literary Seminary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longed to traditional Sino-sphere i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individual regions and countries, and secondly, within the Literary Semantic curriculum, we can not only explor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xtbooks, evaluation methods, etc.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new Sino-sphere.
목차
1. 서 론
2. 필요성과 의의
3. 개별 연구 영역
4.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