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태 서사에 내재된 행복의 폭력성
이용수 317
- 영문명
- Violence of Happiness Implanted in the Narrative of Abortion: With a Focus on A Dreaming Incubator by Park Wan-suh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미영(Kim Mi-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18輯, 75~1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has focused on the issue of abortion by a female character that appeared in A Dreaming Incubator, a novel by Park Wan-suh. Through the abortion and inner turmoil of the female character, this work exposes the way in which the discourse surrounding happiness intervenes in the reproduction of the dominant system. To investigate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pressure that happiness exerts on the female character from the perspective of “consciousness-raising of unhappiness” and “the pain of loss” based on the happiness concept by Sara Ahmed. It is concluded that the female character is in fact able to be happy when she rejects a future that happiness suggests and instead chooses unhappiness. Additionally, it has confirmed that the female character must raise her consciousness of unhappiness and have the right to decide for the life of an “affect alien” because happiness has controlled the life of the female character within the given social structure. The novel emphasizes that the female character should raise her consciousness of the ambivalence of happiness and cut off the history of oppression imprinted on her body. The novel also says the female character can mourn the pain of loss by exercising the right to make decisions about her own “body.” Through this, she will be able to loosen the chain of emotions that was forced upon her.
목차
1. 서론
2. 낙태에 대한 의식화와 불행한 삶으로의 전환
3. 실패한 행복과 (불)가능한 애도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