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성복 시에 나타난 ‘차이’의 구조 연구
이용수 1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difference’ in Lee Seong-bok’s poetry: Focused on 『Wave pattern marks on the forehead of the mo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한라(Park, Hanr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18輯, 103~1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thoughts of poetry’ about what the poem wants to say through the structure of ‘difference’ by examining Wave pattern marks on the forehead of the moon, Lee Seong-bok’s meta poem. ‘Repetition of the same object’ does not aim for identity. The repetition of the same object or situation is ultimately a process in which the speaker repeatedly thinks about the meaning of the object of the poem through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same object reveals its potential through desire or memory, and is accompanied by a difference every time it is repeated. This difference makes an object a sign as the driving force to be reborn as a different object every time the same object is repeated. Since an object without a fixed essence cannot be settled into meaning, it cannot be thought through language, but involuntary thinking is forced every time. The difference between heterogeneous objects is sublimated to transcending taboos or dismantling boundaries. In this sublimated world, the narrator does not lose his living power until the very end. This is ‘separated’ from the system of meaning and escapes towards one’s own world or is revealed through a new existence in the atypical world. Although this world of poetry i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world made of language, it forms a point where thinking with language is impossible because it is a world free from language.
목차
1. 서론
2. 차이 생성을 통한 기호
3. 차이 해체를 통한 승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