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이용수 202
- 영문명
- Future Extreme Climate Analysis of Jeju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and ETCCDI Index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진우(Jeong, Jin Woo) 정세진(Jeung, Se Jin) 김병식(Kim, Byung Si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PCC 5차 보고서에 따르면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따른 대비를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대상지역으로 제주도를 선정하였으며,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1991년 1,780 mm에서 2019년 1,961 mm로 약 10%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기온은 1961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0.3 ℃/10년 증가하였다. 제주도의 기후의 특성은 해발 1,950 m인 한라산을 기준으로 3개소의 기상관측소(제주, 서귀포, 성산)의 기후가 상이하여 타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의 극한기후 분석을 위하여 WMO가 제시한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TCCDI)에서 27개의 지수 중 기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8개의 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과거와 미래로 구분하였으며, 과거의 자료는 1991년~2019년, 미래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2020년~2100년까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극한기후 분석 결과, 과거 경향을 보았을 때 제주관측소에서 일 최고기온이 25 ℃ 이상인 일 수를 보여주는 폭염 일수가 제주지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0 ℃ 미만의 일 수를 보여주는 서리일수에서는 1996년 성산 지역에서 40일이 넘어 세 곳의 지역 중 가장 많은 날을 보여주고 있다.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폭염 일수는 세 곳(제주, 서귀포, 성산)에서 상승추세의 그래프가 나타났으며, 서리 일수는 21세기 후반으로 진행 될수록 0 ℃에 수렴하는 일수가 0에 수렴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일 최고 기온의 그래프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제주지역이 40 ℃가 넘는 그래프가 많은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측소 별로 기후특성을 고려하여 도시계획 및 방재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fifth IPCC report, artificial greenhouse gases are at their highest level since they were first observed, and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system, necessitating a response from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Jeju Island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of the region exhibited a 10% increase from 1,780 mm in 1991 to 1,961 mm in 2019;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by 0.3 ℃ over 10 years from 1961 to 2019. There are three weather stations (Jeju, Seogwipo, and Seongsan) on Mt. Halla, which is 1,950 m above sea level; among these stations, Jeju Island s climate patterns are the most atypical.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WMO)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 for Jeju Island s extreme climate analysis used 8 of the 27 indexe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climate. For analysis purposes, existing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were categorized as: past (data analyzed from 1991 to 2019), and future (data analyzed from 2020 to 2100). According to the extreme climate analysis, Jeju Observatory recorded its highest temperature at 25 ℃ while exhibiting an increasing trend, and at Seongsan, highest temperature of less than 0 ℃ was recorded for more than 40 days in 1996.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the number of hot days in Jeju, Seogwipo, and Seongsan is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frost days has converged to zero with the progression of the second half of the 21st century. Japan s highest temperature chart shows that 40 ℃ spike in Jeju compared to other regions. Thu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each observatory, and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목차
1. 서론
2. ETCCDI 극한지수
3. 연구 자료
4. 제주지역의 ETCCDI 분석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 목재밀도와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분석 연구
- 일본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소방원조대의 수원계획 분석
-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ead Characteristics of Initial Fires According to Corridor Types
-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
- 저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모델
- 시멘트 대체재로 소성 이회암 점토를 활용한 에코콘크리트 개발
-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양간지풍 특성을 고려한 동해안 대형 산불의 수치시뮬레이션
- 물 공급 및 이용 수리권 연구
-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 WFDS를 이용한 소나무 수관화 전이 및 확산 특성 연구
- 기후 및 지형정보가 고려된 극한 일 강수량 산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
-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 복합유역 홍수량 산정 및 개발지역 하류 통수능 평가
-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 Retraction: 수해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 정보 및 통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다층지반의 지중응력산정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