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Deriving a Fire Occurrence Scenario Using Fire-Statistical Caus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수행(Lee, Suhaeng) 허동필(Heo, Dongpil) 민세홍(Min, Seh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101~1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9년 국토교통부 통계에 의하면 전국 건축물의 약 40%가 준공 후 3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노후 건축물은 90년대 대거 개정된 소방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화재안전성능 관련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그 중 다중밀집시설의 대형화재가 사회적으로 큰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화재안전성능 확보를 위한 용도별 건축물의 화재발생 유형 및 화원의 시나리오를 정립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화재시나리오 도출방법과의 차별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세부통계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화재예방 및 대응과 성능위주 소방설계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기반자료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btain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2019, approximately 40% of the buildings in the nation are buildings aged 30 or more years after completion. The Framework Act on Firefighting Services does not apply to old buildings, and they fall into a blind spot of the fire safety performance system. A large fire in a multi-dense facility causes heavy social casualties.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establish the type of fire occurrence and fire source scenario of a building for securing fire safety performance. The current fire scenario derivation method, which was identified as a causation factor among other detailed statistical factors, was analyzed to allow for differentiation from the proposed method. The base data were analyzed to establish fire response and prevention and for developing a performance-based fire-fighting design scenario by deriving a fire occurrence scenario.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의 용도범위 선정
3. 기존 화재시나리오 도출방법 분석
4. 연구의 활용 목표 설정
5. 세부통계요인간 인과관계 분석 및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 목재밀도와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분석 연구
- 일본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소방원조대의 수원계획 분석
-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ead Characteristics of Initial Fires According to Corridor Types
-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
- 저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모델
- 시멘트 대체재로 소성 이회암 점토를 활용한 에코콘크리트 개발
-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양간지풍 특성을 고려한 동해안 대형 산불의 수치시뮬레이션
- 물 공급 및 이용 수리권 연구
-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 WFDS를 이용한 소나무 수관화 전이 및 확산 특성 연구
- 기후 및 지형정보가 고려된 극한 일 강수량 산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
-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 복합유역 홍수량 산정 및 개발지역 하류 통수능 평가
-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 Retraction: 수해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 정보 및 통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다층지반의 지중응력산정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