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이용수 38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Detection Ability of New Infrasound Networks Install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민경민(Min, Kyungmi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179~18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상청에서는 북한 핵실험과 같은 인위적인 폭발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와 백두산 화산 분화 등 자연적인 현상에서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 관측을 목적으로 철원과 양구에 인프라사운드 관측망을 설치하여 운영 하고 있다. 현재 기상청은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을 식별하기 위하여 지진파를 활용한 분석과 함께 인공지진에서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인공지진의 식별 및 분석 업무에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관측 공백 지역인 서해 및 경기도 북부지역 교동도, 파주, 연천에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3개소를 신규 확충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신규 설치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3개소의 분석능력을 테스트 하기 위해 2020년 1월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22회의 인공지진 이벤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은 기존에 운영 중인 철원과 양구 인프라사운드 관측망보다 높은 탐지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철원과 양구 관측망은 노후화와 열악한 부지환경으로 이전 및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의 활용을 통해 인공지진 탐지율 및 분석 정확도의 향상과 북한 핵실험 및 백두산 화산 분화 감시 등 다양한 물리적인 현상에서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 탐지 능력의 향상이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nstalled infrasound networks in Cheorwon and Yanggu. These networks have been operated for detecting infrasound generated from artificial explosions, such as those due to North Korea s nuclear tests, and from natural phenomena such as the volcanic eruption of Mt. Baekdu. Currently, the KMA is simultaneously performing infrasound analysis and seismic wave analysis to discriminate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To efficiently perform the discrimination and analysis of artificial earthquakes, three infrasound networks were expanded in the West Sea and northern Gyeonggi-do Gyodong-do, Paju, and Yeoncheon. In this study, 22 cases of artificial earthquake events that occurred in North Korea in January 2020 were analyzed to test the analysis capabilities of the three newly installed infrasound networ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ewly installed infrasound networks exhibited a higher infrasound detection rate than the existing Cheorwon and Yanggu infrasound networks. The Cheorwon and Yanggu observation networks are being planned for relocation and installation due to aging and poor site conditions. The use of the new infrasound network is expected to improve the detection rate and analysis accuracy with respect to artificial earthquak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detection capability of infrasound generated from various physical phenomena such as nuclear tests performed by North Korea and volcanic eruption of Mt. Baekdu.
목차
1. 서론
2. 기상청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3. 인프라사운드 분석 결과
4. 결론 및 토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 목재밀도와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분석 연구
- 일본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소방원조대의 수원계획 분석
-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ead Characteristics of Initial Fires According to Corridor Types
-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
- 저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모델
- 시멘트 대체재로 소성 이회암 점토를 활용한 에코콘크리트 개발
-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양간지풍 특성을 고려한 동해안 대형 산불의 수치시뮬레이션
- 물 공급 및 이용 수리권 연구
-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 WFDS를 이용한 소나무 수관화 전이 및 확산 특성 연구
- 기후 및 지형정보가 고려된 극한 일 강수량 산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
-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 복합유역 홍수량 산정 및 개발지역 하류 통수능 평가
-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 Retraction: 수해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 정보 및 통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다층지반의 지중응력산정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