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이용수  158

영문명
Support for Decision-Making on the Resilienc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Using Flood Risk Assessment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왕원준(Wang, Won-joon) 김동현(Kim, Donghyun) 유영훈(Yoo, Younghoon) 이준형(Lee, Junhyeong) 김경탁(Kim, Kyung Tak) 김형수(Kim, Hung Soo)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197~21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천광역시는 2020년 UNDRR 국제안전도시로 인정된 이후 향후 10년 동안 복원탄력성 강화를 목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복원탄력성 평가에서 사용되는 위험 평가 도구인 QRE (Quick Risk Estimation)는 복원탄력성 강화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하지만, QRE는 홍수와 같은 특정 재난에 대하여 상세한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1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6~2019년까지 연도별 IBA (Indicator Based Approach) 기반 홍수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여 QRE 도구와 함께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강화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홍수위험도 평가는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Capacity 4개의 항목과 11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단계별로 세부지표별 지수, 항목별 지수, 홍수위험도 지수를 산정하였다. 2019년 기준 시군구별 홍수위험도 지수는 강화군, 미추홀구, 중구, 서구, 옹진군 등의 순서로 크게 산정되었다. 최종적으로 홍수위험도 평가는 홍수위험에 대응하는 시군구별 상황과 위험에 노출된 지표들의 변화를 파악하여 복원탄력성 강화를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Since it was recognized as a UNDRR international safety city in 2020,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been promoting policies aiming to strengthen resilience strategies for the next 10 years. For the resilience assessment, a Quick Risk Estimation (QRE), which is a risk assessment tool for various disasters, can also be used to support the decision-making of experts on strengthening resilience strategies. However, QRE is unable to provide a detailed risk assessment of a specific disaster such as flood. Therefore, in this study, a flood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from 2016 to 2019 using the Indicator Based Approach for the 10 cities and counties in Incheon city. The aforementioned method can also support the decision-making of experts for disaster management alongside QRE results. The flood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items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and capacity) and 11 detailed indicators. The details for each index, item, and flood risk indices were calculated for each evaluation stage. As of 2019, the flood risk index had been calculated for Ganghwa-gun (county), Michuhol-gu (district), Jung-gu, Seo-gu, and Ongjin-gun, among others. The flood risk assessment conducted in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beneficial for a rational decision-making that can support the strengthening of resilience strategies by identifying changes in city- and county-specific situations and risk-exposed indicators in response to flood risks.

목차

1. 서론
2.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이론적 배경
3. 인천광역시 시군구별 홍수위험도 평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원준(Wang, Won-joon),김동현(Kim, Donghyun),유영훈(Yoo, Younghoon),이준형(Lee, Junhyeong),김경탁(Kim, Kyung Tak),김형수(Kim, Hung Soo). (2021).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 (4), 197-210

MLA

왕원준(Wang, Won-joon),김동현(Kim, Donghyun),유영훈(Yoo, Younghoon),이준형(Lee, Junhyeong),김경탁(Kim, Kyung Tak),김형수(Kim, Hung Soo).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4(2021): 197-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