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이용수 127
- 영문명
- Development of Smart Evacuation System for Fire Response in Apartme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허광희(Heo, Gwanghee) 김영범(Kim, Youngbeom) 서상구(Seo, Sanggu) 전승곤(Jeon, Seunggon) 이재훈(Lee, Jaehoon) 김대혁(Kim, Daehyuc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11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서 화재 발생 시 거주자의 신속한 피난을 유도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저감하는 스마트 피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피난 시스템은 피난시설에 적재될 수 있는 적재물을 상시 검출하여 안전하게 대피를 할 수 있는 환경과 물리적으로 최상의 대피 여건을 제공한다. 또한, 화재 시 거주자와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화재정보를 자동으로 전파하여 초동대피를 유도하고, 119 상황실로 보고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피난 시스템은 피난에 사용되는 안전사다리와 피난대피처의 방해물을 검출하는 이상물 검출시스템, 그리고 거주자와 관리자뿐만 아니라 119에 신속하게 화재정보를 알리는 통신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안전사다리의 효과적인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제안한 실물 크기의 안전사다리를 제작하여 구조적인 성능과 신속한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피난대피처의 공간을 상시 확보하기 위해서 피난대피처에 비접촉센서와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피난 방해물을 이상물로 검출하는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재 시 거주자와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화재정보를 송신하며 대피를 돕고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해서 화재정보를 119에 신고하는 기능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본 스마트 피난 시스템은 화재 시 신속 정확한 정보제공으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대피를 유도하며, 화재진압 시 초동대응에 매우 유용한 시스템임을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A smart evacuation system is developed herein to reduce damage to lives and property by inducing rapid evacu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event of apartment fires. The smart evacuation system provides a safe evacuation environment and the best physical evacuation conditions by detecting the loads to be applied to evacuation facilities at all times. In addition, fir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isseminated to the residents and managers during a fire for initial evacuation, and the function for early fire extinguishing is enabled via report to the 119 situation room. The smart evacuation system comprises a safety ladder for evacuation, an ideal detection system to detect obstructions in the evacuation facilities, and a communication system to quickly inform authorities, residents, and managers of a fire. To verify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safety ladder, real safety ladders were constructed and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and usability were verified. In addition, to ensure their permanent space in evacuation facilities, we verified that obstructions to evacuation were accurately detected as anomalies in real time using contactless sensors and communication modules. Finally, the fire information was sent to residents and managers in case of a fire to assist evacuation as well as reported to 119 for rapid suppression. Thus, we demonstrate that the smart evacuation system allows safe and effective evacuation with fast and accurate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fire and is useful for initial response for fire suppression.
목차
1. 서론
2. 기존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개선점
3. 스마트 피난대피시스템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 목재밀도와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분석 연구
- 일본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소방원조대의 수원계획 분석
-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ead Characteristics of Initial Fires According to Corridor Types
-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
- 저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모델
- 시멘트 대체재로 소성 이회암 점토를 활용한 에코콘크리트 개발
-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양간지풍 특성을 고려한 동해안 대형 산불의 수치시뮬레이션
- 물 공급 및 이용 수리권 연구
-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 WFDS를 이용한 소나무 수관화 전이 및 확산 특성 연구
- 기후 및 지형정보가 고려된 극한 일 강수량 산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
-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 복합유역 홍수량 산정 및 개발지역 하류 통수능 평가
-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 Retraction: 수해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 정보 및 통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다층지반의 지중응력산정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