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Case Study on Prediction of Temperature in Compartment Considering Fire Conditions in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조규환(Cho, Gyuhwan) 안재권(Ahn, Jaek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4호, 61~6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행 건축물 주요 구조부재의 내화기준은 획일적인 내화성능(시간)을 확보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건축물은 업종/업태에 따라 다양한 국부적인 화재조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다양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시뮬레이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기존에 수행되었었던 룸코너테스트(KS F ISO 9705)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실사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국부 화재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위치별로 온도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비춰 볼 때, 획일적인 내화성능(시간)을 요구하는 사양적 내화설계에서 성능위주로의 내화설계 지향이 필요함은 물론 화재 및 구조부재 조건들의 다양성을 보다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사례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Current fire resistance standards for major structural members of buildings require uniform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n hours). However, buildings may be vulnerable to various local-fir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industry or busines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differences through simulations. In this study, the existing room corner test (KSF ISO 9705) and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s. Next, the similarity of the results was identified. Simulations of actual buildings were performed based on local-fire condition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temperature varies by loc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erformance-based fire resistance design rather than the specification-based design, which requires uniform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n hours. Simulation ca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flect the diversity of the fire and structural member conditions.
목차
1. 서론
2. 시뮬레이션 검증
3. 화재 시나리오 가정
4. 결과 및 분석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통계적 인과관계를 이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연구
- 목재밀도와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분석 연구
- 일본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소방원조대의 수원계획 분석
-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ead Characteristics of Initial Fires According to Corridor Types
- 공동주택 화재대응 스마트 피난 시스템 개발
-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 기상청 신규 인프라사운드 관측망 탐지 능력 평가
-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두께에 따른 열전달 특성
- 저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모델
- 시멘트 대체재로 소성 이회암 점토를 활용한 에코콘크리트 개발
- 홍수위험도 평가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복원탄력성 의사결정 지원
- 위락시설의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양간지풍 특성을 고려한 동해안 대형 산불의 수치시뮬레이션
- 물 공급 및 이용 수리권 연구
- 기후변화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제주지역의 극한기후 분석
- WFDS를 이용한 소나무 수관화 전이 및 확산 특성 연구
- 기후 및 지형정보가 고려된 극한 일 강수량 산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
- 건축물 화재조건을 고려한 구획공간의 온도 예측 사례 연구
- 복합유역 홍수량 산정 및 개발지역 하류 통수능 평가
-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 Retraction: 수해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 정보 및 통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다층지반의 지중응력산정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