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on Volunteer Performance: Focusing on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in Chungcheongnam-do
- 발행기관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저자명
- 박진복(Park Jin-Bok)
- 간행물 정보
- 『지역복지정책』제31집, 6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서 자원봉사자 중 신중년 세대(50~69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며, 총 250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또한 충남지역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를 촉진하고자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참여 동기 외에도 자원봉사 인정제도에 대한 관련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충남지역 신중년세대 자원봉사자들의 참여 형태 중 참여동기를 살펴본 결과 대체로 개인적 동기보다 이타적 동기가 높고, 주변 동료 및 가족, 친구의 권유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상관관계 결과에서, 자아가치증진 동기와 이타적 동기가 높아질수록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만족과 이타적 만족이 높아진다. 경력증진 동기는 이타적 만족도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인정제도 인식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자원봉사 참여동기는 개인적 만족과 이타적 만족 대부분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자원봉사의 자아가치증진 동기, 경력증진 동기, 이타적 동기 모두 개인적 만족을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인정제도에 대한 인식은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족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survey of 50-69-year-olds in new-middle aged among volunteers in Chungcheongnam-do.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in order to promote participation of Chungnam volunteers, an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among various factors affecting volunteer satisfaction.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voluntary service accreditation system.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among the participation types of volunteers from the Chungnam region, the selfless motives are generally higher than personal motives.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the higher the self-worth promotion motiva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the higher the personal and altruistic satisfaction of volunteers.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in altruistic satisfaction as for the motivation for career promotion, and no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for recogni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satisfaction in volunteer activities. Third, voluntary participation motivation acts as an influencing factor on most of personal and altruistic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tivation for self-worth, career promo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of volunteers are all factors that form personal satisfaction. Fourth, recogni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did not affect both personal and altruistic satisfaction,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In other words, recogni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does not act as an influencing factor in forming a sense of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자원봉사센터의 개념 및 운영체계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연구의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