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acticing welfare in the new normal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이석재(Suk Jea Lee) 김금환(Keum H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6권 제1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15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정의가 시대에 따라 달라졌듯이 ‘복지 실천’의 목적도 사회나 문화, 시대의 가치 등에 영향을 받아 조금씩 변화되어 왔다. 실천 복지 전문가의 역할과 기능 및 복지 특성을 통해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와 혁신을 모색하고 있는 사회복지를 살펴봄으로써 뉴노멀시대의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복지의 실천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빈곤, 불평등, 차별과 같은 전통적 문제부터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글로벌 이주와 같은 새로운 도전까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창의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과학적 실천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뉴노멀이 일상화된 사회적 현상은 과거의 행정이나 관점, 시스템으로는 해결이 어려우며, 새로운 인식과 방법, 방향 설정부터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셋째, 입법 및 사법체계에서의 실천 기능의 활용과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법 기반 의사결정과 법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 개입 활동을 통해 전문가로서의 위상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현장 환경 특성에 맞춰 지식화를 위한 실천공동체 학습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전문성 획득을 위한 실천공동체의 지식창출과 지식공유가 사회복지 직무수행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Just as the defini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has changed over time, the purpose of “welfare practice” has also gradually shifted, influenced by society, culture, and the values of the times. By examining social welfare practices seeking change and innovation to adapt to the new normal through the role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racticing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e propose several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es to address various social issues in the new normal era.
First, the ability to creatively integrate knowledge from various fields, from traditional issues such as poverty,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o new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digital transformation, and global migration, is necessary, and scientific practice must be actively utilized.
Second, social phenomena that have become commonplace in the new normal are difficult to solve using past administration, perspectives, and systems, and must be re-evaluated with new awareness, methods, and dire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atu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through the utilization of practice functions in the legislative and judicial systems, law-based decision-making in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ctivities based on interaction with legal expert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activities to build knowledg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environment.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in communities of practice for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duties.
목차
Ⅰ. 연구의 목적과 범위
Ⅱ. 복지 실천 및 특성의 검토
Ⅲ. 실천 제안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