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가 학업적 흥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Effects of Benefit Sought of Openness to Diversity on Academic Interes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경(Park, Soo-Gyung) 권보민(Kwon, Bo-Mi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3권 제3호, 227~2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가 학업적 흥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G도, B시에 소재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 192명의 데이터를 이용했으며, 다양성 수용도와 학업적 흥미, 진로준비행동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는 학업적 흥미의 하위 변인인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는 직업준비행동 하위변인인 정보수집활동, 도구 구비활동, 목표 달성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예비특수교사에게 있어 다양성 수용도는 특수교사로서 나아가야 할 학업에 있어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진로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변인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학생에 대한 여러 요구 및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업에 있어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실습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Interes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openness to diversity. Method: Analyze the data of 194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studying. The data are processed with PASW 20.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ituational interest and individual interest of academic interest by openness to diversity. Secon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lligence collection activities, tool equipment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y of academic interest b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penness to diversity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 knowledge to understand and accommodate diversity in academic studies so that variou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be understo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및 만족도 분석
-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국내 실험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 양육시설에서 성장한 뇌성마비 대학생의 구술 생애사 연구
- 미국 브릿지스쿨의 학생 맞춤형 보조공학 서비스 사례 연구
-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분석
- 건강한 사람들의 세계에서 병(病)을 가진 사람의 장애 경험 탐구
-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 영향 변인 탐색
-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가 학업적 흥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