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분석

이용수  11

영문명
A Review of the Domestic Research on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순희(Bak, Sunhi) 이성아(Lee, Seong-A)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3권 제3호, 59~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기술을 적용한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중도장애 학생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적용 연구 추세와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 1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방식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학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장애유형별로 보면 지적장애와 뇌성마비 학생이 가장 많았다. 가상현실 기술로 삼인칭 가상현실과 몰입형 가상현실이 많이 쓰였고, 동기유발전략, 정보제시전략, 프로그램참여 전략이 중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설계로 집단간 비교설계와 단일대상연구가 사용되었고, 중재 효과가 ICF의 신체 기능 및 구조 그리고 활동과 참여에서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아직 국내에서는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실질적인 VR 적용 중재를 개발하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국제 기능∙건강∙장애분류(ICF) 체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성과를 보장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중재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analyze effects of virtual reality(VR) based interventions o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an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thod: The systematic review study was reported following guidance of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methods of 15 experimental studies involving participants with severe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identifi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cerebral palsy. Most of the studies used the third person and immersive VR types. Motiv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program participation strategies were used in intervention procedures. Also, between-group design and single subject design were mostly implemented. A variety of different effects of VR interventions were measured in body functions & body structures, and activity and participation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 Disability and Health (ICF).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acticality and effects of VR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as low in Korea. VR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needs to be developed to ensure effectiveness in multiple domains followed by the ICF.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희(Bak, Sunhi),이성아(Lee, Seong-A). (2020).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3 (3), 59-76

MLA

박순희(Bak, Sunhi),이성아(Lee, Seong-A).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3.3(2020): 5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