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

영문명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Meaning of Life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정재원(Jung, Jae-Wo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3권 제3호, 197~22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M시의 장애인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중 장애교육교사의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5명을 선별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7일부터 5월 9일까지 주 1회 10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장애수용 척도와 삶의 의미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체장애인의 삶의 의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정신적, 사회적 욕구를 이해하였으며,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를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on acceptance of disabilities and meaning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observations conducted by disability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the Disabled Support Center in M City. Five members of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observations. The group lower cases had been held a total of 10 times (100 minutes of session) and once a week from March 7 to May 9, 2018. As a research tool, the Disability Acceptance Scale and the Meaning of Life Scale were used. Th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lower cases.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ca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wer cases of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Life of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ntal, and social needs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provided empirical data on physically disabled peoples Disability Acceptance and Meaning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원(Jung, Jae-Won). (2020).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3 (3), 197-226

MLA

정재원(Jung, Jae-Won).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3.3(2020): 197-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