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 영향 변인 탐색
이용수 2
- 영문명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룡(Kim, Ki-Ryo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3권 제3호,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21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혼자서 외출 가능 유무, 우리나라의 장애인 차별 정도에 대한 인식, 여가활동 참여 경험, 복지기관 이용 경험이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결론: 따라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조인력, 보조기기 지원 등과 같이 평생교육 참여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은 물론,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저해하는 요인을 고려하여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Method: This study used the data regarding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from 2017 Disability Surve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21 variables that could affect each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Exploring whethe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s able to go out on their own, a perception of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an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using welfare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Conclusion: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t is necessary to build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such as supporting personnel and assistive devices, as well as considering factors that inhib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olicy of lifelo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및 만족도 분석
-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국내 실험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 양육시설에서 성장한 뇌성마비 대학생의 구술 생애사 연구
- 미국 브릿지스쿨의 학생 맞춤형 보조공학 서비스 사례 연구
- 중도장애 학생을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분석
- 건강한 사람들의 세계에서 병(病)을 가진 사람의 장애 경험 탐구
-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 영향 변인 탐색
- 예비특수교사의 다양성 수용도가 학업적 흥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