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Qualitative research on reorganization of disability serv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bolition of disability grade system: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officers and companion counselor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경란(Kim, Kyoung Ra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2권 제2호, 29~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범사업 참여 공무원과 동행상담 담당자 28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3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주제에서 총 6가지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제시된 주제와 하위주제는 첫째, 장애인 사각지대 발굴 기준 마련, 둘째, 초기상담 진행 시 상담자는 장애에 대한 이해와 상담기술을 익히는 것이 요구되며, 장애인 전문 상담 인력이 필요하며, 셋째, 동행상담기관과의 일정 조율, 정보 공유가 필요하며, 넷째, 위원회의 역할 명확화, 위원에게 권한부여 강화, 다섯째, 민관 협력 파트너십 필요, 자원의 한계, 지역 간 인프라 부족, 여섯째, 민관협력 구축과 읍면동 허브화와 연계한 전달체계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등급제가 폐지됨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officials and consult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ject to prepare a service delivery system reform according to the abolishment of the disability grade system.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28 participants of public officers and accompanying consultants involved in the project was conducted.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a total of 6 topics were derived with 33 semantic units and 13 sub topics. Second, consultants are required to obtain a set of crucial skills to better understand different disabilities. Third, the cost of service collaboration is necessary, the coordination processing period of the service needs to be adjusted. Fourth,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role of the committee, as well as strenthening the scope of committee’s authority.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certain adjustments and preliminary information sharing.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that utilizes public and private cooperation and utilizes Community center.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reorganization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abolishing the disability grade system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란(Kim, Kyoung Ran). (2019).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 (2), 29-54

MLA

김경란(Kim, Kyoung Ran).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2(2019): 2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