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 수업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권보민(Kwon, Bo-Min) 박수경(Park, Soo-Gy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2권 제2호, 167~18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창의적 교구를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수업을 통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예비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학교현장에서 활용성을 높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G대학 특수체육교육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을 듣는 18명과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을 듣지 않는 18명의 학생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봉미미 등(2012)의 SMILES 학업적 흥미 척도와 고형일(2011)의 셀프리더십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t-test,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에 따른 학업적 흥미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수업을 통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는 폭넓은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특수교육대상자와 예비특수체육교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수업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oo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lass on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ass,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class. SPSS 20.0 program was applied to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sults: The participant of creative teaching too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lass improved in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ven that the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ademic interest and improving self-leadership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 수업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남성 지체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육적 함의
-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