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n the Leisur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Korean Research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한송이(Han, Song-Yi) 이미숙(Lee, Misu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2권 제2호, 85~10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여가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 연구의 주제와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8년도까지의 국내 학술지 연구 중 지체장애인의 여가를 주제로 하는 논문 44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게재년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과 연구 주제 및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의 특성으로 혼자서 하는 여가활동 중심의 정적인 여가에 참여하였으며 동적인 공동체 여가활동을 요구하고 있었다. 둘째, 여가는 지체장애인의 심리 및 사회적 측면과 신체 및 건강 측면, 삶의 질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체장애인이 여가를 향유하는데 있어서 취약한 물리적 환경, 여가 프로그램의 부족 그리고 여가활동을 위한 제도적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여가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지체장애인의 여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44 studies from domestic journals until 2018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i.e.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subject), research topics and content of the journals. Results: First, they participated in the leisure activities centered on leisure activities by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activitie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emanded dynamic community leisure activities. Second, leisure has influenced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physical and health aspect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there were issues of inadequacy of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leisure activities, lack of physical environment and lack of leisure program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enjo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domestic research on the leisur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 수업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남성 지체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육적 함의
-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