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 지체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육적 함의
이용수 1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Status of Mal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cusing on Current Smoking Rat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민혁(Choi, Min-Hyeok) 최진혁(Choi, Jin-Hyeo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2권 제2호, 143~1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인구집단에서 흡연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 지체장애인의 흡연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흡연에 미치는 영향요인(특히 사회경제적 수준)을 변별하여 지체장애인에 대한 건강증진정책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연령표준화 현재 흡연율을 산출하였으며, 복합 조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른 요인을 보정한 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성인 남성 지체장애인의 연령표준화 현재 흡연율은 45.1% (95% CI 44.9-45.2)였다. 다른 요인을 보정한 후 기초생활수급권자는 가장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흡연을 할 위험이 1.97배(95% CI 1.14-3.39) 높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현재 흡연율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that people on the lower socioeconomic statu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moke cigarettes. This study (a) calculated the age-standardized current smoking rate of adult mal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 identified the impact of factors (especially the socioeconomic level) on the current smoking after adjusting other factors. Method: The Surve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17) was employed for calculating the smoking rates of adult mal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for complex survey data. Results: The age-standardized smoking rates of adult mal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45.1% (95% CI 44.9-45.2). After adjusting other factors, the odds ratio of the basic livelihood condition on the current smoking was estimated at 1.97 (95% CI 1.14-3.39).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urrent smoking level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socioeconomic level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smoking rates and health level in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 수업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병원학교 운영 매뉴얼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남성 지체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육적 함의
-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