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설 특수교육기관 내 저체중출생아와 정상체중출생아 현황 및 문제특성 조사
이용수 1
- 영문명
- Sustained Effects of Low Birth Weight, Focusing on 4 through 6 Year-old Children in Private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자경(Jakyoung Kim) 안성우(Seongwoo Ahn) 김지훈(Jihoon Kim) 김기주(Kijoo Kim) 강혜진(Hyejin Kang) 서주영(Jooyoung Seo)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9권,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설특수교육기관에 다니는 취학 전 장애아동 중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문제 특성에 대해 정상체중출생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P시에서 운영되는 사설특수교육기관에서 치료 및 교육을 받고 있는 4-6세 아동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133명의 장애아동 중 106명(79.7%)이 정상체중출생아로 평균 34개월에 장애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저체중출생아는 27명(20.3%)으로 이들의 장애가 확인된 시기는 평균 37개월이었다. 이들 저체중출생아 중 1.5-2.5kg으로 출생한 아동의 경우 장애여부 확인이 평균 38개월에 이루어져 가장 늦게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출생아는 언어문제와 사회성문제가 다른 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으나, 저체중출생아는 운동 문제와 언어 문제가 특히 많이 나타났다. 특히 운동문제를 가진 저체중출생아의 비율은 정상체중출생아의 문제발생비율보다 3배 정도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저체중출생아의 발달상의 문제 및 장애를 최소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퇴원 후 유아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와 부모교육을 통한 조기 발견 및 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rate of low birthweigh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4 through 6 year-old children in private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P city. The kinds of disabilities, problems and detecting time are also examined. The sample consists of 133 children in the private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results show that 27 children (20.3%) are low birthweight children and they are found to be disabled on 37 months after birth. Especially, children with very low birthweight (1.5-2.5kg) are detected to be disabled on the average of 38 months after birth, which is the latest. The types of disabilities are various among low birthweight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disability is language disabilities (48.2%). The problems of the low birthweight children are also various. They reveal motor problems (29.0%) most frequently.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the needs of continuous supervision and parent education for early identification of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 This can be a way to reduce the risks of low birthweigh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중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에 관한 고찰
- ICT활용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ICT활용능력의 관계 및 영향 비교
-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 비구어 발달장애아의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방안 고찰
-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잔류응력측정 및 제거 방법
- 발달지체학생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 지도전략 탐색
-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문장 이해력 실태조사
- 지체부자유 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
-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지체부자유아 교육·자활사업 성립조건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를 위한 연구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 호흡 및 구강운동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발성 호기 시간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 건강관리 실태 및 지원체계 모형의 제안
-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 분석
-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핵심영역인 자기결정 구성영역과 하위요소 탐색
- 특수교육에서의 치료교육과 관련서비스
-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듀센형 근 위축 증후에 관한 고찰
-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 Asperger Syndrome영재의 이해
- 사설 특수교육기관 내 저체중출생아와 정상체중출생아 현황 및 문제특성 조사
- 특수학교 치료교육 교사 양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지역사회통합 교육과정(CIS-C)이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