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
- 영문명
- The Effect of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on the Spontaneous Speaking of Disabled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정(kim, Hyun jeong) 정대현(Dae hyun J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9권, 39~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인형의 집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적 발화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J시에 소재하고 있는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유치부에 재원중인 2명의 유아들이다. 대상 유아들은 유치원 일과 중인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치부 교실에서 40분씩 총 20회기 동안 구조화된 인형의 집놀이 활동을 실시하여 유아의 모방 발화와 자발 발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된 인형의 집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서 사용하는 품사의 종류와 빈도의 증가를 보였다. 그 중에서 명사와 동사의 발화량이 현저히 높았다. 둘째, 구조화된 인형의 집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문장의 어절 길이에 증가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on the amount of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es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affect the type and frequency of part of speech used in disabled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2. Does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affect the length of Eojeol in disabled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wo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department of special school in the city of J.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selected preschoolers were engaged in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in 20 sessions, 40 minutes each, in optional class that was part of routine kindergarten schedule. And their imitative and voluntary speaking was measu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served to increase the type and frequency of part of speech used in the disabled young children s voluntary speaking. Specifically, there was a remarkable increase in their verbal use of nouns and verbs. Second, the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contributed to enlarging the length of Eojeol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on the amount of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es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affect the type and frequency of part of speech used in disabled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2. Does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affect the length of Eojeol in disabled young children s spontaneous speak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wo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department of special school in the city of J. In kindergarten classroom, the selected preschoolers were engaged in a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in 20 sessions, 40 minutes each, in optional class that was part of routine kindergarten schedule. And their imitative and voluntary speaking was measu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served to increase the type and frequency of part of speech used in the disabled young children s voluntary speaking. Specifically, there was a remarkable increase in their verbal use of nouns and verbs. Second, the structured doll-house play activity contributed to enlarging the length of Eojeol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중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에 관한 고찰
- ICT활용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ICT활용능력의 관계 및 영향 비교
-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 비구어 발달장애아의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방안 고찰
-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잔류응력측정 및 제거 방법
- 발달지체학생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 지도전략 탐색
-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문장 이해력 실태조사
- 지체부자유 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
-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지체부자유아 교육·자활사업 성립조건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를 위한 연구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 호흡 및 구강운동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발성 호기 시간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 건강관리 실태 및 지원체계 모형의 제안
-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 분석
-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핵심영역인 자기결정 구성영역과 하위요소 탐색
- 특수교육에서의 치료교육과 관련서비스
-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듀센형 근 위축 증후에 관한 고찰
-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 Asperger Syndrome영재의 이해
- 사설 특수교육기관 내 저체중출생아와 정상체중출생아 현황 및 문제특성 조사
- 특수학교 치료교육 교사 양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지역사회통합 교육과정(CIS-C)이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